지역대학들이 글로벌 인재양성 일환으로 추진 중인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교환할 학생 없는 교환학생제도’로 전락할 판이다.
총장들은 교환학생 협약 체결을 들어 해마다 해외 순방길에 오르고 있지만 정작 후속 교류실적은 바닥을 면치 못해 알맹이없는 ‘외유’란 비판마저 받고 있다.
충남대는 3월 신학기와 함께 올 하반기 호주 플린더스대학에 파견할 교환학생(복수학위) 2명을 모집했으나 지원자가 전무해 사실상 올해 이 대학과 교환학생 교류 계획을 마감했다.
1차 모집에 이어 추가모집까지 벌였으나 막판까지 교환학생 지원자가 나타나지 않은 것.
이는 최근 환율 상승 여파로 유학비용이 크게 늘어나며 해외 유학을 꺼리게 된 탓도 있지만 까다로운 선발기준도 학생 지원을 꺼리게 만든 요인이란 분석이다.
현재 충남대, 한남대, 목원대등 대부분 지역대학들은 대학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교환학생 지원요건에 대해 전 학년 평균 학점이 3.5점 이상에 영어권의 경우 토플(ibt 기준) 80점 이상 등을 기본 사항으로 요구하고 있다.
교환학생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학교가 요구하는 학점은 무난하게 충족하고 있지만 대부분 학교 측이 요구하고 있는 어학기준의 장벽에 부딪쳐 지원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학생 선호도가 높은 영어권 국가의 교류 현황은 그나마 양호한 편이다. 비영어권 국가의 경우 협약만 체결해놓고 실적이 전무한 개점휴업 상태인 자매대학들이 한두 곳이 아니다. 지난해 교환학생 58명을 파견한 충남대는 선호도가 높은 영어권 국가들도 1~3대 1의 경쟁률에 그치고 있고, 비영어권은 지원자가 없어 1대 1의 경쟁률도 채우지 못하는 사례가 적잖다.
한남대 역시 지난해 영어권 교환학생 2대 1(70명 선발), 일본어권 1.5대 1(19명 선발), 중국권 1.2대 1(20명 선발)의 경쟁률에 그치는등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다는 국가들도 교환학생을 찾는게 버겁다.
까다로운 자격기준에 불똥이 튀는 것은 청년실업에 홀로 고군분투하는 학생들이다.
학생들은 교환학생 제도 대신 선발기준이 까다롭지 않은 방문학생, 자비유학생 제도를 차선책으로 찾고 있지만 상대 학교의 학비를 면제받는 교환학생 제도와 달리 방문학교에 직접 학비를 지불해야 해 비용 부담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난다.
최근엔 최업난 여파로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방문학생제도를 찾는 학생들이 꾸준히 늘어 충남대의 경우 지난 2007년 41명이던 방문학생 수가 지난해 107명으로 교환학생 수의 두 배에 육박하고 있다.
충남대 국제교류원 관계자는 “어학기준 요건은 학생들이 해외에 나가 자매대학에서 학업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준”이라며 “선발기준을 낮출 경우 지원자 수를 늘릴 수는 있지만 교환학생의 자질 문제와 학교 이미지 저하 등 부작용도 고려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학생 김 모 씨는 “대학 이미지만 고려해 자매대학 수 늘리기에만 급급할게 아니라 저렴한 비용의 교환학생제도가 되도록 내실을 기할 필요가 있다”며 “준비를 소홀히한 학생들이 근본 원인이겠지만 무작정 학생탓만 하는 학교도 그리 적절한 처신같아 보이진 않는다”고 말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총장들은 교환학생 협약 체결을 들어 해마다 해외 순방길에 오르고 있지만 정작 후속 교류실적은 바닥을 면치 못해 알맹이없는 ‘외유’란 비판마저 받고 있다.
충남대는 3월 신학기와 함께 올 하반기 호주 플린더스대학에 파견할 교환학생(복수학위) 2명을 모집했으나 지원자가 전무해 사실상 올해 이 대학과 교환학생 교류 계획을 마감했다.
1차 모집에 이어 추가모집까지 벌였으나 막판까지 교환학생 지원자가 나타나지 않은 것.
이는 최근 환율 상승 여파로 유학비용이 크게 늘어나며 해외 유학을 꺼리게 된 탓도 있지만 까다로운 선발기준도 학생 지원을 꺼리게 만든 요인이란 분석이다.
현재 충남대, 한남대, 목원대등 대부분 지역대학들은 대학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교환학생 지원요건에 대해 전 학년 평균 학점이 3.5점 이상에 영어권의 경우 토플(ibt 기준) 80점 이상 등을 기본 사항으로 요구하고 있다.
교환학생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학교가 요구하는 학점은 무난하게 충족하고 있지만 대부분 학교 측이 요구하고 있는 어학기준의 장벽에 부딪쳐 지원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학생 선호도가 높은 영어권 국가의 교류 현황은 그나마 양호한 편이다. 비영어권 국가의 경우 협약만 체결해놓고 실적이 전무한 개점휴업 상태인 자매대학들이 한두 곳이 아니다. 지난해 교환학생 58명을 파견한 충남대는 선호도가 높은 영어권 국가들도 1~3대 1의 경쟁률에 그치고 있고, 비영어권은 지원자가 없어 1대 1의 경쟁률도 채우지 못하는 사례가 적잖다.
한남대 역시 지난해 영어권 교환학생 2대 1(70명 선발), 일본어권 1.5대 1(19명 선발), 중국권 1.2대 1(20명 선발)의 경쟁률에 그치는등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다는 국가들도 교환학생을 찾는게 버겁다.
까다로운 자격기준에 불똥이 튀는 것은 청년실업에 홀로 고군분투하는 학생들이다.
학생들은 교환학생 제도 대신 선발기준이 까다롭지 않은 방문학생, 자비유학생 제도를 차선책으로 찾고 있지만 상대 학교의 학비를 면제받는 교환학생 제도와 달리 방문학교에 직접 학비를 지불해야 해 비용 부담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난다.
최근엔 최업난 여파로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방문학생제도를 찾는 학생들이 꾸준히 늘어 충남대의 경우 지난 2007년 41명이던 방문학생 수가 지난해 107명으로 교환학생 수의 두 배에 육박하고 있다.
충남대 국제교류원 관계자는 “어학기준 요건은 학생들이 해외에 나가 자매대학에서 학업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준”이라며 “선발기준을 낮출 경우 지원자 수를 늘릴 수는 있지만 교환학생의 자질 문제와 학교 이미지 저하 등 부작용도 고려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학생 김 모 씨는 “대학 이미지만 고려해 자매대학 수 늘리기에만 급급할게 아니라 저렴한 비용의 교환학생제도가 되도록 내실을 기할 필요가 있다”며 “준비를 소홀히한 학생들이 근본 원인이겠지만 무작정 학생탓만 하는 학교도 그리 적절한 처신같아 보이진 않는다”고 말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