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환경미화원들이 정부에서 환경미화원 고용승계를 명문화해 보장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도내 9개 시·군 환경미화원 400여 명이 참여하고 있는 충남공공일반노조는 8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활쓰레기 청소업무는 일회성 사업이 아니고, 환경미화원의 노동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공공서비스”라며 “최근 정부가 이런 공공서비스를 망각한 채 생활폐기물 수집 대행제도를 도입해 최저입찰가를 부추겨 고용불안과 임금 삭감이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에 “적어도 고용불안 없이 임금이 저하되지 않고 마음놓고 일할 수 있는 보완책을 정부가 만들어야 한다”며 “환경미화원 생존권을 위협하는 탁상행정을 즉시 중단하고 환경미화원 고용안정과 임금안정에 노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환경미화원의 고용승계를 보장하고 직접 노무비는 낙찰 기초금액에서 제외시켜야 한다”며 “무엇보다 근본적인 대책으로 청소업무를 직영화 해 공공서비스 질을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완희 위원장은"우리의 이런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극단행동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도내 9개 시·군 환경미화원 400여 명이 참여하고 있는 충남공공일반노조는 8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활쓰레기 청소업무는 일회성 사업이 아니고, 환경미화원의 노동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공공서비스”라며 “최근 정부가 이런 공공서비스를 망각한 채 생활폐기물 수집 대행제도를 도입해 최저입찰가를 부추겨 고용불안과 임금 삭감이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에 “적어도 고용불안 없이 임금이 저하되지 않고 마음놓고 일할 수 있는 보완책을 정부가 만들어야 한다”며 “환경미화원 생존권을 위협하는 탁상행정을 즉시 중단하고 환경미화원 고용안정과 임금안정에 노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환경미화원의 고용승계를 보장하고 직접 노무비는 낙찰 기초금액에서 제외시켜야 한다”며 “무엇보다 근본적인 대책으로 청소업무를 직영화 해 공공서비스 질을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완희 위원장은"우리의 이런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극단행동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