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지역 공동주택 공사가 잇따라 중단되며 건설경기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전체에 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은 공사가 중단된 대전시 중구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

김상용 기자 ksy21@cctoday.co.kr
 
 
아파트 신축현장 난항은 단순하게 건설현장에 국한된 문제로 치부할 수 없는 파급효과를 내재하고 있다.

일단 지역 곳곳에 흉물로 방치되는 건설현장은 기(旣) 투입된 매몰비용의 문제뿐 아니라 원도급업체 부도 등으로 인한 공사중단 시 하도급업체 연쇄피해에 대책이 없다는 점에서 경제·사회적인 피해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또 시공에 나선 아파트가 공사를 잠시 중단하거나 최소한의 공정만 진행시켜 명맥만 유지하는 현장이 속출하면서 건설·부동산 경기악화로 지역 불경기 악순환이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심리까지 자극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 세수감소는 물론 지역 경기부양 견인력 약화가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경제 전반에 걸친 하락세를 주도할 수 있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역의 경우 건설과 부동산 경기가 지역경제 전반의 활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공공공사 조기발주와 자금집행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앞장서서 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것도 이러한 판단에서 기인한다.

건설현장에서 들려오는 불안한 소식들로, 투자심리가 위축돼 수요가 얼어붙는 악순환 반복도 현안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역 건설시장 냉각이 향후 주택공급 부족과 집값 불안을 증폭시켜 자산이 외지로 유출돼 지역 공동화의 우려까지 제기되는 실정이다.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중견건설업체부터 전문건설업체나 영세업체에 이르기까지 지방건설사의 위기감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원·투룸과 상가 등 일반 건축공사는 끊긴 지 오래됐고, 그나마 의지하던 관급 공사도 일감이 없는 원도급사가 생사를 걸고 나서는 통에 하도급으로 생계를 이어가기도 막막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건설공사 발주는 늘었다지만 현재 지역에도 크고 작은 건설업체는 넘쳐나는 수준이어서 도태되는 회사가 앞으로도 속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시 전문건설협회 관계자는 “중견건설업체가 부도나 공사중단을 선언할 경우 이에 연관된 인적·물적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며 “지난 동산과 구성건설 부도 시에도 수백만 원에서 수십억 원에 이르기까지 하도급업체 피해 등 공사기간 밀린 노임과 식대조차 해결치 못해 파급된 피해액은 눈덩이처럼 불었다”고 설명했다.

건설현장이 사라짐에 따라 일용직 근로자의 생계도 극에 치닫고 있다.

결국 지역 곳곳까지 파급되는 악영향으로 인해 공사현장 수난은 현장 관련 직간접적 피해와 함께 지역 내 불안심리를 고조시키고 투자·소비심리를 위축시키는 등 다방면에 걸친 파장이 심각하다.

따라서 공공공사 발주·시공 시 지자체 등 발주처가 나서서 시행사를 수시로 감독해 정상공정 진행이 담보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는 건설업계의 요구가 지역 전반의 경기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힘을 얻고 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