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환경·노동단체, 석면피해자 및 학계 등 전문가로 구성된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회원들이 31일 충북도청 기자실에서 3차례에 걸친 충북 제천 수산면 일대의 석면 오염실태를 발표하고 있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 ||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는 31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3차에 걸친 충북 제천시 수산면 일대에 대한 석면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59개 시료 중 73%인 43개 시료에서 트레몰라이트 등 석면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또 강원도 영월 팔괴리 일대의 밭과 과수원 등 15개 지점을 조사한 결과, 87%인 13개 지점에서도 트레몰라이트와 백석면 등이 검출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들은 △석면을 노출시켜 오염을 확산시키는 채석장 등 석면 오염원 차단 △채석장 등으로부터 반출된 석면 오염된 조경석, 골재 등에 대한 추적조사를 통해 추가 석면피해 예방 △전면적인 건강피해 확인 및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석면 피해는 비단 충북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충남 홍성과 보령지역의 석면광산 문제, 충북 제천 및 강원 영월지역의 석면광산 지역 모두 안전한 폐광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정부는 하루빨리 석면광산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규모로 지질·지형학적인 석면조사를 실시해 ‘석면광맥도’를 작성해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석면공해가 확산되는 상황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어 “국회에 상정된 ‘석면특별법’을 빠른 시일 안에 제정해 피해자에 대한 보상과 추가적인 노출 피해를 예방하는 제도를 마련해 석면광산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도명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상임대표는 “전국의 폐광도 충북과 충남 폐광처럼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다”며 “석면 먼지를 일으키는 것을 막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고, 시급히 논의해 대책을 결정·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는 “조만간 석면 대책팀을 꾸려 대책 마련에 들어가고, 환경부 등과 협의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도는 또 단기대책으로 주민 건강검진 실시 및 석면질환 발병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채석장 훼손지역 복원 및 주민안정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장기대책으로는 석면피해 보상 관련 특별법을 제정하고, 건강검진 결과 석면질환 의심자에 대한 치료·보상 및 관리, 폐광산 및 오염농경지 복원 등 환경오염 방지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석면광산이 위치한 경기, 강원, 충남, 경북 등 지자체와 공조해 중앙부처와 역할 분담 등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