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일제고사반대 촛불집회가 30일 대전교육청 앞에서 열려 전교조 조합원들이 일제고사 폐지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상용 기자 ksy21@cctoday.co.kr |
||
대전지역 28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교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는 30일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촛불문화제를 열고 31일 실시되는 진단평가 폐지를 촉구했다.
이들은 이어 진단평가 당일인 31일 시험을 거부하고 체험학습을 희망한 대전지역 초·중학생 30여 명과 학부모 등과 함께 연기군 동면 합강리 일대로 체험학습을 강행키로 했다.
충남지역 시민단체로 구성된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공동대책위’도 31일 오전 9시께 천안교육청 정문 앞 등 아산과 당진, 홍성등 각 지역별로 집결해 시험을 거부하고 예산 충의사 등에 현장체험 학습을 떠나기로 했다.
공대위는 현재 도내 각 지역에서 약 120여 명이 시험당일 현장체험학습을 신청했으며, 가족단위로 체험학습을 떠나는 학생들까지 포함할 경우 수백 명의 학생과 학부모가 이번 진단평가를 거부할 것으로 내다봤다.
초중학생 진단평가를 둘러싼 교육당국과 전교조등 시민사회단체가 전면적인 대립각을 세움에 따라 향후 후유증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교육당국은 학교장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체험학습에 참가한 학생들은 무단결석 처리키로 하고 관련교사는 진단평가 후 후속조치할 방침을 내세우고 있어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는 이미 교원들의 진단평가 거부 등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한 상태여서 상황에 따라 대규모 교원 중징계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장의 승인을 받지 않은 체험학습은 당연히 결석처리를 할 수 밖에 없다”며 “관련 교사에 대해서도 현재 분명한 징계방침을 세운 것은 아니지만 진단평가 후 문제가 발생하면 후속조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공대위 관계자는 “시험을 보지 않은 학생들에게 불이익 조치를 가한다면 문제학교에 대해 공대위 차원에서 법적 대처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교조 대전지부는 교육당국의 징계를 각오하고 체험학습 등 불복종 운동에 동의한 교사들의 명단을 30일 공개키로 했다가 이를 유보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천안=최진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