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지자체의 농공단지 지원제도가 농어촌 개발과의 연계 부족, 노후단지에 대한 지원 미흡,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6일 대전 유성 아드리아호텔에서 열린 지식경제부 주최 ‘농공단지 발전전략 포럼’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서재호 부경대 행정학과 교수는 “농림부와 지자체는 농공단지 조성업무만 담당, 입주기업 지원 등 단지 운영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농공단지와 지역 개발사업과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며 “낙후된 농어촌 활성화에 농공단지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진흥공단과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주관한 이날 포럼에서 서 교수는 “전국 377개 농공단지의 58%가 개발된 지 18년 이상된 낙후단지이지만 지원자금 대부분이 신규 단지 조성에만 투입돼 노후단지 환경 개선, 인프라 확충이 이뤄지지 않는다”며 “견실한 중소기업 입주를 유도하고, 농공단지가 지역의 활력소가 될 수 있도록 노후단지 현대화 사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또 “현재 농공단지 지원정책은 지역별 차별성와 상대적 경쟁력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지원에 그쳐 농공단지가 지역사회와 융화되지 못한 채 유리돼 농어촌의 도시 예속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으로 △기술개발 시드머니(Seed money) 제공 등 자금 지원방식 다각화 △정부·지자체 매칭펀드 형태의 기금을 조성해 인프라 확충 △산학협력기관·중소기업청 등의 마케팅 지원, 직거래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거래 활성화 △농공단지협의회 및 입주기업대책위원회 결성 △창업보육기능 강화 △외국인 직접투자를 통한 첨단단지화 △농공단지 중심의 지역특화펀드 조성 등을 제시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