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주도로 이뤄져 왔던 대전시의 문화예술행정이 앞으로는 민간이 주도하는 형태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시는 25일 자산 100억 원, 대표이사 및 3팀(운영지원팀, 문화사업팀, 사업지원팀) 체제를 골자로 한 대전문화재단 설립기본계획안을 발표하고, 오는 10월부터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할 수 있도록 조례제정·임직원 채용·법인등기 등 후속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시가 발표한 계획안에 따르면 대전문화재단은 재단법인 형태로 행정부시장을 이사장으로 15인 이내의 이사 및 감사 2인으로 둘 수 있게 했다.

출범 초기 조직은 대표이사를 포함한 9인으로 운영되지만 사업의 규모에 따라 최대 14명까지 확대할 수 있게 했으며, 출범 초기의 행정안정을 위해 대표이사와 운영지원팀 직원을 법인 출범 이전에 채용하고, 시 직원 한 명을 파견 근무키로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설립자산은 100억 원으로 출발하는 대신, 시가 매년 5억 원가량의 운영자금을 지원하고 대전문화재단의 자생적 운영을 위해 시비출연 등으로 2020년까지 500억 원을 적립해 나간다는 계획도 포함돼 있다.

지역 문화계의 최대 관심사인 대전문화재단의 주요업무로는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 무대공연작품 제작지원,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 국악 분야 예술강사제 등 시 위탁업무와 문화예술창작 및 학술진흥, 문화예술사업 평가 및 컨설팅, 문화예술인 복지지원, 창작예술인 인큐베이터, 문화지도제작, 문화예술단체 DB 구축사업 등 자체사업이다.

시의 계획안대로 오는 10월 대전문화재단이 출범할 경우, 대전지역 문화계의 판도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거시적 문화정책은 대전시가 수립하고 시행은 문화재단이 하는 형태로 역할분담이 될 것으로 보이며, 문화재단 출범에 따른 시 관련부서 인원축소도 예상된다.

무엇보다 민간 주도의 전문가적 안목이 점목되면서 새로운 요구와 변화에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및 그 동안 막혀왔던 기업 후원과 협찬, 투자가 가능해져 지역 문화예술 및 메세나 활성화에도 긍정적 작용을 할 것이라는 장미빛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낙현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문화행정의 주체가) 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바뀌고 전문가적 안목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중심의 전문화된 업무수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면서 "단기적으로는 공모사업이 중심이 되지만 장기적으로 역할과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