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의 신재생에너지 기반이 취약, 저탄소 녹생성장을 위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 2007년 전국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560만 8000toe(toe는 ‘석유환산톤’이라고 하며, 1toe는 석유 1톤 연소시 발생하는 에너지 양을 의미) 중 대전지역의 비중은 0.7%(3만 9640toe), 충남지역 비중은 1.2%(6만 7687toe)에 그쳤다.
충북지역은 8.6%(47만 9951toe)를 차지해 대전·충남과 대조를 이뤘다.
신재생에너지는 태양열·태양광·지열·연료전지·바이오·폐기물·수력·풍력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며, 대전은 태양광·태양열·지열, 충남은 지열·태양열·태양광, 충북은 수력·지열·바이오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또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사업에 투입된 정부 지원금 4049억 원 가운데 대전에는 불과 0.8%(34억 원)가 지원돼 전국 16개 시·도 중 최하위에 머물렀고, 충남에 4.0%(160억 원), 충북에 3.1%(124억 원)가 각각 지원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전국 태양광주택 2만 3640호 가운데 대전에 0.9%(213호), 충남에 7.1%(1677호), 충북에 11.3%(2670호)가 분포해 있고,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2879곳 중 대전에 2.9%(83곳), 충남에 5.1%(148곳), 충북에 4.1%(118곳)가 산재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사업의 경우 ‘제주·강원·전남’ 순으로 지원됐고, 태양광주택은 ‘전남·경북·충북’ 순, 전문기업은 ‘경기·서울·대구’ 순으로 분포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충청권 그린에너지 공공보급 세미나’가 23일 충북 청주 명암타워 컨벤션센터에서 지자체 공무원,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학·연 관계자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에너지관리공단 충청지역에너지기후변화센터가 주최하고 대전시·충남도·충북도가 후원한 이날 세미나는 △정부의 녹색성장 전략과 지역의 역할 △지자체 에너지 효율 향상 △신재생에너지 공공 부문 투자 방안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심도있는 토론으로 진행됐으며, 각 지자체는 그린에너지 관련기업 200여 곳이 참여한 이번 행사를 통해 기업유치 활동을 펼쳤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23일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 2007년 전국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560만 8000toe(toe는 ‘석유환산톤’이라고 하며, 1toe는 석유 1톤 연소시 발생하는 에너지 양을 의미) 중 대전지역의 비중은 0.7%(3만 9640toe), 충남지역 비중은 1.2%(6만 7687toe)에 그쳤다.
충북지역은 8.6%(47만 9951toe)를 차지해 대전·충남과 대조를 이뤘다.
신재생에너지는 태양열·태양광·지열·연료전지·바이오·폐기물·수력·풍력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며, 대전은 태양광·태양열·지열, 충남은 지열·태양열·태양광, 충북은 수력·지열·바이오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또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사업에 투입된 정부 지원금 4049억 원 가운데 대전에는 불과 0.8%(34억 원)가 지원돼 전국 16개 시·도 중 최하위에 머물렀고, 충남에 4.0%(160억 원), 충북에 3.1%(124억 원)가 각각 지원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전국 태양광주택 2만 3640호 가운데 대전에 0.9%(213호), 충남에 7.1%(1677호), 충북에 11.3%(2670호)가 분포해 있고,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2879곳 중 대전에 2.9%(83곳), 충남에 5.1%(148곳), 충북에 4.1%(118곳)가 산재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사업의 경우 ‘제주·강원·전남’ 순으로 지원됐고, 태양광주택은 ‘전남·경북·충북’ 순, 전문기업은 ‘경기·서울·대구’ 순으로 분포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충청권 그린에너지 공공보급 세미나’가 23일 충북 청주 명암타워 컨벤션센터에서 지자체 공무원,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학·연 관계자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에너지관리공단 충청지역에너지기후변화센터가 주최하고 대전시·충남도·충북도가 후원한 이날 세미나는 △정부의 녹색성장 전략과 지역의 역할 △지자체 에너지 효율 향상 △신재생에너지 공공 부문 투자 방안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심도있는 토론으로 진행됐으며, 각 지자체는 그린에너지 관련기업 200여 곳이 참여한 이번 행사를 통해 기업유치 활동을 펼쳤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