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3대 핵심공약이자, 충청권 대표 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이 최근 관련 특별법이 제정되는 등 그 윤곽이 서서히 잡혀가고 있지만 여전히 그 실체는 안갯속에 갇혀 있는 형국이다. ▶관련기사 3면

정부가 지난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국회에 제출, 사실상 ‘공’이 국회로 넘어갔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가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특히 과학벨트 사업이 충청권의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자생적 사업이기보다는 급조된 ‘대선공약용’ 사업으로 출발한 만큼 태생적 한계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도 과제다.

◆원래는 국제과학기업도시(은하도시)로 출발

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민동필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 등이 중심이 된 은하도시포럼의 지지를 받게 된다. 따라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공약에는 민 교수를 비롯한 은하도시포럼 교수들의 아이디어가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은하도시포럼은 2007년 10월 '행복한 과학'이라는 책을 발간, 그 내용 안에 '국제과학기업도시'라는 이름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표현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은하도시포럼 학자들은 이 책에서 "국제과학기업도시(은하도시)는 과학을 테마로 한 도시임에 분명하지만 기존의 과학 관련 교육기관과 연구기관을 모아놓은 과학도시와는 차원이 다르다. 또 산업을 연계시킨 산업단지와도 구별된다. 이곳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자족도시이자 과학과 문화를 중심으로 다양성과 창조성을 지향하는 도시"라고 표현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연계해 충청권 표심도 얻고 행정도시 자족기능도 보강하겠다는 구상으로 진행, 당초 도시수준의 구상에서 대덕특구와 행정도시, 충북 오송·오창을 연결하는 벨트로 한 단계 발전시켰다. 이렇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탄생하게 됐다.

◆과학벨트 청사진 나왔지만

정부는 지난 1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종합계획에는 세계적 종합기초과학연구소와 첨단지식산업, 글로벌 정주여건과 문화, 유비쿼터스 기반이 갖춰진 녹색도시를 거점으로 조성하며 이를 주변의 연구·첨단산업 기능과 긴밀히 연계해 확장하는 국제적 과학비즈니스벨트로 육성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로 담겨 있다.

특히 과학벨트 내 거점지구의 중심에는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 가속기가 각각 설립된다.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은 오는 2012년 말 완공 예정이며 여기에는 50여 개 연구단에 3000명의 연구인력이 포진할 예정이다.

또한 4600억 원이 투입되는 중이온 가속기는 오는 2012년에 착공해 2015년에 완공될 예정이며 가속기가 운용에 들어가면 나노보다 작은 펨토 수준의 미시세계 연구, 우주의 근원, 신물질, 에너지, 환경, 의료 분야 등의 연구에서 큰 성과가 기대된다. 과학비즈니스벨트에는 부지매입비, 기반시설 조성비를 제외하고 모두 3조 5487억 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전망이다.

◆논란 불씨는 여전

과학벨트 사업은 행정도시 자족기능을 보강하기 위해 출발한 만큼 행정도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그러나 행정도시로 이전할 정부기관들을 알리는 정부고시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고 과학벨트 특별법에도 조성지역으로 충청권이 명기되지 않고 있어 행정도시를 축소하는 대신 과학벨트를 조성하려 한다는 음모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정부는 일단 올 연말까지 과학벨트 조성사업의 기본 및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 가속기 등이 조성되는 거점지구를 올 상반기 안에 선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정부 방침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논란이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충청권 지자체와 시민단체, 주민들은 당초 공약대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충청권에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해 오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