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잠했던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됐다.
정부가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 추진을 위해 지자체 압박에 나서자 사업 반대 지역민들은 전방위 호소와 탄원으로 맞서기 시작했다.
지역민의 반대가 여전한 상황에서 정부의 압박이 공식화되자 충남도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가로림만 조력발전 계획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은 한국서부발전이 포스코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 등과 함께 컨소시엄(가로림조력발전㈜)을 구성, 가로림만 입구 2㎞를 방조제로 막은 뒤 520㎿급 조력발전소를 운영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1980년 가로림만이 조력발전사업의 최적지로 꼽히면서 지속적으로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되는 등 에너지 수급과 관련해선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지만, 지속가능 발전을 중시했던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거치면서 지속적인 보완을 요구받아 왔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저탄소 녹색성장 기조와 맞물려 사업 추진이 급진전되면서 정부 차원에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가로림만 조력발전 용량이 2012년 국가 신재생에너지 목표 설비용량(1715㎿)의 30%를 차지하는 사업인 만큼 에너지 수급을 담당하는 지식경제부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사업이라고 판단, 사업 추진을 위해 잰걸음을 내딛고 있다.
그동안 지자체에 대해 구두로만 사업 추진 협조를 구했던 지경부는 지난 5일 충남도와 서산시, 태안군에 공식 협조공문을 띄웠고 하루 앞서 가로림조력발전은 사업 찬성 주민들과 보상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자체는 사업 반대 여론을 적극적으로 전환시키라는 지경부의 압박이 공식화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천연갯벌 훼손이 녹색성장인가
사업 추진을 위한 일련의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가로림만 조력발전 반대대책위는 즉각 청와대와 정부, 국회 등에 호소문과 탄원서를 발송했다.
가로림만을 공유하는 18개 어촌계(서산 12·태안 6) 가운데 12개 어촌계장이 서명했다.
이들이 제시한 반대논리의 핵심은 서해안에 유일하게 남은 천연갯벌의 훼손이다.
사업자는 40%가량 해수유통률이 감소해 13% 정도(백중사리시 30%) 갯벌이 감소하지만 수면이 일정하게 유지돼 투명도가 증대되는 만큼 양식업 소득이 증대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방조제로 가로림만 입구를 막을 경우 드넓은 갯벌이 항상 바닷물에 잠기는 결과를 초래해 일정시간 잠김과 공기노출이 반복적으로 필요한 갯벌의 생태계가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는 게 어민들의 판단이다.
각종 어류의 산란장인 갯벌이 파괴될 경우 바다 생태계도 완전히 교란돼 결국 어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반대 어민들은 지난 6일 충남도를 방문해 “반대가 있다면 사업이 무리하게 추진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한 도지사의 약속이 지켜지길 바란다”고 입장 표명을 대신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정부가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 추진을 위해 지자체 압박에 나서자 사업 반대 지역민들은 전방위 호소와 탄원으로 맞서기 시작했다.
지역민의 반대가 여전한 상황에서 정부의 압박이 공식화되자 충남도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가로림만 조력발전 계획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은 한국서부발전이 포스코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 등과 함께 컨소시엄(가로림조력발전㈜)을 구성, 가로림만 입구 2㎞를 방조제로 막은 뒤 520㎿급 조력발전소를 운영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1980년 가로림만이 조력발전사업의 최적지로 꼽히면서 지속적으로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되는 등 에너지 수급과 관련해선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지만, 지속가능 발전을 중시했던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거치면서 지속적인 보완을 요구받아 왔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저탄소 녹색성장 기조와 맞물려 사업 추진이 급진전되면서 정부 차원에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가로림만 조력발전 용량이 2012년 국가 신재생에너지 목표 설비용량(1715㎿)의 30%를 차지하는 사업인 만큼 에너지 수급을 담당하는 지식경제부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사업이라고 판단, 사업 추진을 위해 잰걸음을 내딛고 있다.
그동안 지자체에 대해 구두로만 사업 추진 협조를 구했던 지경부는 지난 5일 충남도와 서산시, 태안군에 공식 협조공문을 띄웠고 하루 앞서 가로림조력발전은 사업 찬성 주민들과 보상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자체는 사업 반대 여론을 적극적으로 전환시키라는 지경부의 압박이 공식화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천연갯벌 훼손이 녹색성장인가
사업 추진을 위한 일련의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가로림만 조력발전 반대대책위는 즉각 청와대와 정부, 국회 등에 호소문과 탄원서를 발송했다.
가로림만을 공유하는 18개 어촌계(서산 12·태안 6) 가운데 12개 어촌계장이 서명했다.
이들이 제시한 반대논리의 핵심은 서해안에 유일하게 남은 천연갯벌의 훼손이다.
사업자는 40%가량 해수유통률이 감소해 13% 정도(백중사리시 30%) 갯벌이 감소하지만 수면이 일정하게 유지돼 투명도가 증대되는 만큼 양식업 소득이 증대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방조제로 가로림만 입구를 막을 경우 드넓은 갯벌이 항상 바닷물에 잠기는 결과를 초래해 일정시간 잠김과 공기노출이 반복적으로 필요한 갯벌의 생태계가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는 게 어민들의 판단이다.
각종 어류의 산란장인 갯벌이 파괴될 경우 바다 생태계도 완전히 교란돼 결국 어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반대 어민들은 지난 6일 충남도를 방문해 “반대가 있다면 사업이 무리하게 추진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한 도지사의 약속이 지켜지길 바란다”고 입장 표명을 대신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