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국제공항 운영권이 민간으로 매각된다.
국토해양부는 5일 ‘지방공항선진화 대상공항 선정 심의회’를 가진 후 “한국공항공사가 독점 운영하던 14개 지방공항 중 청주국제공항을 민간매각 대상 공항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관련기사 4면
국토부는 학계·시민단체 등 11명으로 구성된 민간전문가 자문단의 검토를 토대로 지방공항별 분석 및 선정기준에 대한 평가 결과, “효율성 및 수익성 개선효과는 큰 반면 공익성 침해 우려가 낮은 공항으로 청주공항이 1위 배점을 받았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14개 지방공항 중 1위로 선정된 청주국제공항은 현재 여객과 화물 처리물량이 저조한 적자공항이지만 꾸준한 항공수요 증가추세로 성장 가능성이 높고, 과도한 인건비 비중 등 비효율성이 커 민간운영을 통한 효율성 개선효과가 클 것으로 평가됐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앞으로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매각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공공성 확보방안 검토를 위한 전문컨설팅을 7월 말까지 실시할 예정이며, 매각공고와 우선협상자 선정 등을 거쳐 내년 초까지 민간에 운영권 인계를 완료할 방침이다.
또한, 전문컨설팅 과정에 충북도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국토부·지자체·항공사·공항운영자 등의 참여하는 공동협의체를 구성, 공항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 한다는 계획이다.
공항 운영권 민간매각은 소유는 국가가 그대로 유지하면서, 운영권만 일정기간 민간에 양도하는 것으로 국토부는 이 방식을 활용할 경우 기존 공항공사 단독 경영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항운영에 민간의 창의와 효율을 도입, 침체된 지방공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공항 민영화 후 공항이용료 인상과 서비스 저하, 공항시설 확충 등의 지적에 대해 ‘공적 통제장치’를 도입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정부의 청주공항 민간매각 결정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정부의 민영화 대상 공항 선정이 예상보다 빠르게 결정돼 당혹스럽다”면서도 “오는 7월 말까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전문컨설팅이 진행되고, 공동협의체가 구성되는 만큼 지역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매각 결정과 연계해 수도권전철 연장을 조기에 실현하고, 청주공항의 활주로 추가 확장, 화물청사 증축 등 시급한 시설 확충 과제를 반드시 관철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욱 청주국제공항활성화대책위 사무국장은 “정부가 공항민영화 추진에 적극적인 것은 청주공항의 활성화에 비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전문컨설팅에 해당 지자체도 참여하는 만큼 지역의 현안을 충분히 반영토록 추진하면 오송분기역의 고속철도 시대와 충청권 방문의 해가 겹치는 2010년 청주공항을 내륙 중심공항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또 “현재 인천공항의 항공기 운항횟수를 24만에서 41만 회로 확대하고, 김포공항은 아시아 중심 공항으로 육성하고 있는 등 지방공항이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지방공항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청주공항을 내륙 중심공항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현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슬기로운 지혜가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청주국제공항은 지난해 104만 3000명이 이용했으며, 경영평가는 운영 시설투자 등에 총 119억 원이 투입됐으나 65억 원의 수익을 창출해 54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최영덕 기자 ydchoi@cctoday.co.kr
국토해양부는 5일 ‘지방공항선진화 대상공항 선정 심의회’를 가진 후 “한국공항공사가 독점 운영하던 14개 지방공항 중 청주국제공항을 민간매각 대상 공항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관련기사 4면
국토부는 학계·시민단체 등 11명으로 구성된 민간전문가 자문단의 검토를 토대로 지방공항별 분석 및 선정기준에 대한 평가 결과, “효율성 및 수익성 개선효과는 큰 반면 공익성 침해 우려가 낮은 공항으로 청주공항이 1위 배점을 받았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14개 지방공항 중 1위로 선정된 청주국제공항은 현재 여객과 화물 처리물량이 저조한 적자공항이지만 꾸준한 항공수요 증가추세로 성장 가능성이 높고, 과도한 인건비 비중 등 비효율성이 커 민간운영을 통한 효율성 개선효과가 클 것으로 평가됐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앞으로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매각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공공성 확보방안 검토를 위한 전문컨설팅을 7월 말까지 실시할 예정이며, 매각공고와 우선협상자 선정 등을 거쳐 내년 초까지 민간에 운영권 인계를 완료할 방침이다.
또한, 전문컨설팅 과정에 충북도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국토부·지자체·항공사·공항운영자 등의 참여하는 공동협의체를 구성, 공항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 한다는 계획이다.
공항 운영권 민간매각은 소유는 국가가 그대로 유지하면서, 운영권만 일정기간 민간에 양도하는 것으로 국토부는 이 방식을 활용할 경우 기존 공항공사 단독 경영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항운영에 민간의 창의와 효율을 도입, 침체된 지방공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공항 민영화 후 공항이용료 인상과 서비스 저하, 공항시설 확충 등의 지적에 대해 ‘공적 통제장치’를 도입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정부의 청주공항 민간매각 결정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정부의 민영화 대상 공항 선정이 예상보다 빠르게 결정돼 당혹스럽다”면서도 “오는 7월 말까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전문컨설팅이 진행되고, 공동협의체가 구성되는 만큼 지역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매각 결정과 연계해 수도권전철 연장을 조기에 실현하고, 청주공항의 활주로 추가 확장, 화물청사 증축 등 시급한 시설 확충 과제를 반드시 관철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욱 청주국제공항활성화대책위 사무국장은 “정부가 공항민영화 추진에 적극적인 것은 청주공항의 활성화에 비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전문컨설팅에 해당 지자체도 참여하는 만큼 지역의 현안을 충분히 반영토록 추진하면 오송분기역의 고속철도 시대와 충청권 방문의 해가 겹치는 2010년 청주공항을 내륙 중심공항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또 “현재 인천공항의 항공기 운항횟수를 24만에서 41만 회로 확대하고, 김포공항은 아시아 중심 공항으로 육성하고 있는 등 지방공항이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지방공항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청주공항을 내륙 중심공항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현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슬기로운 지혜가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청주국제공항은 지난해 104만 3000명이 이용했으며, 경영평가는 운영 시설투자 등에 총 119억 원이 투입됐으나 65억 원의 수익을 창출해 54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최영덕 기자 ydcho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