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김정남, 김정은과 다르지 않았을 것… 北에 남겨진 가족 걱정"
사진/ 연합뉴스
“북에 남아있는 형님과 처가 식구들이 혹시나 해를 입지 않을까 남으로 넘어온 우리는 하루하루 걱정 속에 살아갑니다.”
탈북자 김용진(38·가명) 씨는 최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벌어진 ‘김정남 피살 사건’을 처음 접하는 순간 북에 두고 온 가족을 가장 먼저 떠올렸다고 한다.
2008년 말 가까스로 탈북에 성공한 김 씨는 탈북을 결심한 이유에 대해 “북에서 생활하며 남한 소식을 간간히 접할 때마다 북한 체제가 확실히 잘못됐음을 느꼈다”면서 “‘철창없는 감옥’을 벗어나 미래를 찾고자 결국 탈북을 감행했다”고 밝혔다. 북한에서 지낼 당시 무역업에 종사했던 김 씨는 ‘지도원’의 자리에서 근무한 덕분에 경비대와의 접촉이 잦았다. 이를 통해 비교적 안전한 경로의 정보를 얻은 김 씨는 부모님과 아내를 데리고 무사히 대한민국 땅을 밟았고, 현재 직장생활을 하며 나름의 정착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과거의 북한 인민’의 입장에서 이번 사건을 바라본 그는 일각에서 일어나고 있는 김정남에 대한 지나친 우상화가 매우 거북하다고 조심스레 말한다. 김 씨는 “과거 김정남이 세습 반대나 개혁 개방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김정남 체제의 북한은 지금과 달랐을 것이라는 외부적인 시선은 잘못된 것”이라며 “김정남 역시 지도자가 아닌 독재자의 삶을 살았을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탈북자나 북한 인민들에겐 ‘의미없는 죽음’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사건이 북한 내부적으로도 동요를 일으킬 가능성이 희박하다는게 그의 설명이다. 사실상 북한의 고위층을 제외하고선 김정남의 존재는 물론 김정은의 자세한 가족관계 조차 거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김 씨는 “김정은 체제 이후 거듭된 고위직 처형·숙청이 이어지면서 권력 기반을 공고히 다지고 있다”면서 “김정남 피살 역시 자신의 확고함을 알리기 위한 조치이거나, 김정은을 따르는 일부 세력의 과잉충성이 불러온 결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을 지켜본 김 씨에게 걱정으로 다가오는 것은 무엇보다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들의 존재라고 한다.
이번 사건은 물론 이른바 ‘공포정치’의 연장선에서 거듭되는 김정은의 고위층 숙청이 탈북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와 닿기 때문이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