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자의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취업 스펙의 중요 요소인 학점을 두고, 교수와 학생 간 분쟁이 심화되고 있다.
급기야 지역의 한 대학에서 ‘F학점 남발’ 교수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거부와 이에 따른 교수-학생 간 소송전(戰)까지 벌어지는 불상사가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학점 관련 분쟁을 조정·중재하는 기구가 학내 전무해 갈수록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학점 분쟁’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다.
이번 사태가 불거진 대전지역 한 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A학과에서는 2011년 2학기 성적 발표 당시 교수가 50명의 수강학생 중 28명에게 ‘F학점’을 준 데 대한 불만으로 학생들이 수업거부 단체행동에 나서 지난해 1학기 B교수의 수업이 폐강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후 A학과는 사태 중재를 위해 해당교수와 학생들의 대화의 장을 마련했지만 결국 해결이 나지 않았고, 이 사태를 지켜본 같은과 C교수는 학생들에게 B교수의 수업을 들을 것을 강요했다.
C교수의 강요에도 결국 B교수의 강의가 폐강되자 C교수는 수업거부를 선동한 것으로 의심되는 D학생 등 2명에게 F학점을 줬고, 이에 대해 D학생은 학교 윤리위원회에 이 건을 제소하며 또 다른 논란을 낳았다.
여기에 수업이 폐강된 B교수는 D학생을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 스승이 학생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빚어졌다.
이같은 소송이 오가는 사례는 아니더라도 최근 대학가에는 방학을 앞두고 교수연구실을 드나드는 성적 불만 학생의 수가 갈수록 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의 한 교수는 “최근들어 성적 발표 후 학점을 올려달라며 연구실을 찾는 학생들이 수강생의 30% 이상에 달해 다른 업무나 연구에 차질을 빚는일이 늘고 있다”며 “아무래도 학점에 구멍이 나면 취업에 불리하다는 학생들의 현실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평가 기준이 있다보니 점수를 올려줄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실랑이가 벌어지는 일이 흔해졌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처럼 대학 내에서 학점과 관련한 분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지만 이를 중재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기구가 전혀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대학은는 윤리위원회 등 조정 기구를 두고 있지만 해당 기구가 중재안을 내놓더라도 강제성이 없는 권고에 그쳐 해결 가능성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또 일각에서는 성적에 민감한 학생들을 납득시키기 위해 학점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조정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학점의 경우 교수의 고유권한이라는 인식으로 중재가 어려워 공론화되기는 어렵다는 게 대학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지역의 한 대학 관계자는 “취업문이 갈수록 좁아지면서 학생들이 학점에 민감해 성적발표 후 교수들과 실랑이를 벌이는 일이 잦아지면서 이를 중재할 수 있는 기구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다”면서도 “지금도 학교 내 분쟁 해결을 위한 기구가 마련돼 있긴 하지만 학점과 관련해서는 교수의 고유권한이라는 인식이 크다보니 해당 교수와 학생 간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전홍표·이한성 기자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