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대규모 상생산업단지 조성을 앞두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해법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민선 5기 들어 적극적인 기업유치로 지역 총생산(GRDP)은 비약적으로 증가했으나, 지역 소득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22일 충남도에 따르면 2009년 60.4%였던 지역소득이 2011년 58.5%로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이처럼 GRDP 대비 지역 소득이 감소하는 이유는 기업을 유치했어도 기업 종사자들이 지역에 정착하지 않거나, 소득의 역외 유출이 가장 큰 원인으로 해석된다. 때문에 생산과 소비가 연결되는 지역경제 선순환 구축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도는 기존 도내 산업단지를 연계한 ‘두 마리 토끼 사냥(지역 소득과 GRDP)’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부터 기존 산업단지를 7권역 24거점 도시로 만드는 방안을 계속해서 추진해 왔다. 7권역은 상생산다 반경 20㎞(출퇴근 30분 이내)의 2~3개 시·군을 정주환경 조성 권역으로 설정하자는 게 핵심 골자이다.

24거점도시는 권역 내 시·군 소재지, 기업도시 등을 거점 도시로 지정해 집중적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도는 중점관리 도시도 선정했는데, 내포신도시와 당진시 송산면, 아산시 탕정면이 대상이다. 이렇게 여건이 성숙한 3개 지역에 대해서는 조기 사업을 가시화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상생산단 추진을 위해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조례 및 시행규칙을 제정함과 동시에 추진위원회 및 분과 위원회도 구성했다. 지난해 기본 틀을 갖췄다면, 올해에는 상생산단 추진 종합 계획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도의 의지만으로는 상생산단을 성공적으로 조성할 수 없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당장 각 시군의 협조가 뒷받침돼야 하는 데, 현실은 녹록지 않다. 지역 소득과 직결되는 역외 유출을 막기 위한 추진위원회 구성과 추진계획을 수립한 곳도 공주시, 보령시 등 7개 시·군에 불과하다.

각 시·군은 생활 편의시설 등 민간추진 분야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지만, 이런 준비에 손을 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다른 문제는 전문인력 부족과 예산 편성의 부담이 가중하고 있어 각 시·군은 사업추진에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산업단지 업무에 인력 충원 없이 업무만 ‘덤’으로 추가하다 보니 직원들의 업무 기피현상은 도를 넘고 있다. 사업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점도 상생산단 추진을 가로막고 있다. 일선 시·군과 달리 충남도만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도는 각 시·군에 전담 공무원 배치와 상생산단 추진 관련 사업비를 우선 확보할 것을 재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이 사업은 3년마다 종합계획을 보완해 지속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각 시·군의 협력 없이는 이뤄내기 어렵다”며 “신규사업 발굴과 기존사업도 병행해 시·군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