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입학생이 191명, 203명, 219명, 239명.

1개 학교의 현황처럼 보이는 이 수치는 실상 심각한 인구유출로 지자체의 존립 기반이 흔들리고 있는 충청권 4개 군 지역의 전체 현황이다. 산업화 이후 시작된 이농현상은 첨단 과학시대에도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고, 더불어 농촌의 몰락은 가속화 되고 있다. <도표 참조>이 같은 농촌의 계속적인 인구유출로 전국 243개 지자체 가운데 자치 존립이 사실상 위험상태인 인구 3만 명이 무너진 곳이 7곳에 이른다.▶관련기사 3면

인구 3만 명이 붕괴된 지자체는 전국 최소인 경북 울릉군(1만 명 전후)을 비롯해 경북 청송군, 강원 화천·양구·고성·양양군, 전북 무주·진안·장수군, 전남 구례군 등이다.

다행히 충청권에는 3만 명 인구가 무너진 지자체가 아직은 없지만 붕괴 초읽기에 들어간 곳이 5곳에 이른다. 자치 군으로 걸음마를 시작한 증평군을 제외하고, 2008년 말을 기준으로 인구 3만 명 붕괴가 우려되는 곳은 충북의 괴산군(3만 7066명), 보은군(3만 5443명), 단양군(3만 2220명), 충남의 청양군(3만 3456명) 등이다.

이들 지역 외에 전국에 걸쳐 인구 3만 명이 무너질 우려가 처한 곳은 강원도의 인제군, 전북의 임실·순창군, 전남의 곡성·진도군, 경북의 고령·봉화군 등이 있다. 인구 3만 명 붕괴를 막기 위한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의 노력은 피눈물이 날 지경이지만 유출은 계속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은 이들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다. 어떤 지역은 인구 4만 명, 어떤 지역은 5만 명, 어떤 지역은 6만 명으로 지켜내자고 설정한 목표는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의 농어촌지역 지자체는 예외 없이 인구 지키기에 행정력을 올인하고 있는 형편이다. 충북의 영동과 옥천, 충남의 금산은 인구 5만 명을 지켜내기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고 충남 서천과 태안도 6만 명 사수를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인구가 줄어들며 초미니 지자체는 교육, 문화, 의료 등 각 분야에서 소외되며 주민 삶의 질이 날로 추락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으며 이들 지역민들이 뒤지지 않는 여건 속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을 하고 있지만 막상 수혜자들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날로 식어가고 있다.

인구 3만 명 붕괴 위기에 놓인 지자체는 전교생 50명 미만의 초미니 학교가 절반 가까이에 이르고 있고, 지역 전체에 국가자격증을 취득한 의사와 한의사, 치과의사 수가 손으로 꼽을 수 있을 지경이다.

인구가 감소하며 군 전체에 소아과와 산부인과 개인병원이나 의원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이 이들 지역의 실상이다. 면 지역의 경우, 병·의원은 고사하고 약국 하나가 없는 곳이 대부분이다.

두 개 이상 학년이 한 교실에서 수업을 하는 복식수업이 일반화 돼 있는 것은 물론이고 도시지역에서는 생소한 상치교사나 순회교사 제도가 당연시 되고 있다.

이들 지역학생들에게 사교육이란 말은 사치에 가까운 수준이어서 공교육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특기적성 및 교과학습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엄청난 예산과 노력이 투입되는 데도 불구하고 수요자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젊은층이 없는 이들 지역은 밤 문화도 사라져 밤 9시만 되면 군 전체가 암흑세상으로 변한다. 이 같은 상황들은 인구유출을 가속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어, '떠나고 쇠락하고'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한 주민은 "인구감소가 이어지는 지역도 예외 없이 20~30년 전만 해도 인구 10만 명을 넘어섰던 곳"이라며 "대형 개발 호재만이 떠난 사람들을 다시 모으게 하는 유일한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도운 기자 oja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