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을 앞두고 취업 문제가 가장 큰 고민이네요. 도저히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없어 수도권 정보에만 집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대전지역 대학의 4학년 학생들은 졸업을 코앞에 두고 하나같이 취업 걱정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경기침체로 청년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취업은 사실상 바늘구멍 통과하기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대전지역 주요 기업의 일자리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올해 채용규모도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학생들은 다른 지역 기업 정보를 알아보거나 비교적 취업이 쉬운 중소기업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대전 거주자 15세 이상 가운데 학생, 주부, 연로자, 심신장애인 등을 제외한 경제활동 인구(2012년 11월 기준)는 76만 3000여명으로 이중 취업자는 73만 5000여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 구직활동에 나서 언제든 일이 주어지면 바로 경제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실업자가 2만 8000여명에 달한다는 이야기다.
문제는 대전지역 기업체가 워낙 다양하지 못해 일자리가 부족하고, 그나마 일자리도 단순노무나 서비스부문 등에 치우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역 취업자의 직업을 살펴보면 기능·기계조작·단순노무직이 24만 5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기술·행정 관리직 18만 3000명, 서비스·판매직 17만 5000명, 사무직 12만 3000명, 농림어업직 1만 1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대전시 등 지자체와 기업이 지역인재 채용과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업은 채용 과정에서 지역 대학 출신의 학생들에게 특혜를 주는 방식을 선택하고, 대전시는 이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적극 지원정책을 펼칠 것을 주문하고 있다.
물론 대전시도 현재 ‘일취월장123’ 등 청년 일자리사업을 추진하는 등 강력한 고용 정책을 추진 중이다. 또 지난해는 각종 취업지원 정책을 통해 2800여명의 청년을 취업시키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지원 정책이 대부분 중소기업에 몰려있어 이들의 안정적 취업(좋은 일자리 제공)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많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대전시 일자리 기획 추진단 관계자는 “매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총 2790억원을 투입해 기업을 지원하는 등 취업 기회 제공을 위해 갖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며 “대기업만 선호하는 구직자들의 태도도 문제지만, 이들을 위해서도 기업과 협의를 통한 맞춤형 일자리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