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인사적체에 시달려 온 청주시가 행정구역 통합을 앞두고 광역자치단체에 준하는 직위별 직급 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다음주중으로 개청 이래 가장 많은 무보직 6급 승진을 단행할 예정이어서 다소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본보 지난달 31일자 1면>7일 시에 따르면 청주시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마무리되면서 조만간 개청 이래 가장 많은 46명의 무보직 6급 승진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시는 조직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중간관리자인 6급을 전체 정원(1776명)의 26∼28.5%까지 늘리는 내용의 조례안을 지난해 11월 청주시의회에서 통과시킨 바 있다.
시는 그동안 인사적체로 공무원들 사이에서 ‘만년 7급’이란 자조섞인 말이 터져 나오자 2006년 8월 무보직 6급 승진제도를 처음 도입했다. 만 12년 이상 일한 7급을 무보직으로 승진시키는 제도다. 이듬해인 2007년 7월경 일반승진자를 포함해 23명의 인사를 단행했다. 시는 해마다 정원조례 조정을 통해 무보직 6급 승진을 조금씩 늘려 현재 53명이 근무하고 있다.
하지만 무보직 6급 승진제도가 인사적체를 해소하는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그동안 한 계에 2명의 6급이 존재해 지휘권에 문제가 발생하고 6급으로 승진해도 기존 7급이 하던 일을 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껴 왔다.
무보직 6급으로 승진하면 만 5년 이상 7급이 받아 오던 대우수당(11만1490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20호봉 기준 12만1910원 상당의 급여만을 더 받게 된다.
급여는 더 받지만 보직을 받은 6급(23만여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다. 직렬별 소외론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현행 53명의 무보직 6급 중 67.93%에 이르는 36명은 행정직이다. 기능직은 32.07%인 17명에 불과하다.
이같은 지적이 일자 인구 50만 이상 도시의 경우 직위별 직급을 상향 조정해 만성적인 인사적체를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사실 시는 이번에 4급 서기관 승진자의 교육 인사 교류 과정에서 자리가 없어 보직 발령을 내지 못하는 상황까지 초래했다.
청주시의 무보직 6급의 한 관계자는 "당근책으로 급여만 챙겨 줄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사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며 "경찰도 급지별에 따라 인사시스템이 다른 것처럼 인구 50만 이상의 대도시는 광역자치단체에 준하는 인사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2014년 7월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기 전까지 직위별 직급 조정을 위한 관련 법 정비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경철수 기자 cskyung74@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