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벼랑끝에 몰린 황해청

한화그룹컨소시엄이 만든 ㈜당진테크노폴리스의 사업 철회, 우선협상대상자 미선정 등으로 충남도가 공동 개발하는 황해경제자유구역 지구 조성사업이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벼랑 끝에 몰렸다. 개발사업이 장기간 표류하면서 사업은 축소될 대로 축소됐고, 각종 우려에 지역민의 불만만 격해지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투자자는 선뜻 자금 투자를 망설이고 있다. 황해경제자유구역의 해체가 불가피하다는 우려마저 지역 내 팽배한 실정이다. 충청투데이는 황해경제자유구역의 현황과 문제점을 긴급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동북아 물류 전지기지 목표로 기대감

동북아 물류의 허브 조성을 담당할 황해경제자유구역청(이하 황해청)이 2008년 7월 공식 출범했다. 2005년 1월 충남도와 경기도가 상생발전 협약을 체결한 뒤 양 기관이 3년 6개월 간의 노력 끝에 황해청이 개청한 것이다. 직원도 일반직 103명과 계약직 21명 등 124명에 이르렀다. 황해청에는 지난해 기준 총 129명(충남도 인원 64명)이 근무하고 있다. 황해청이 출범할 때만 하더라도 분위기는 좋았다. ▶관련기사2면

황해청의 개청으로 동북아 물류 중심이자 환황해권 경제 거점으로서의 기대감이 한껏 부풀어 있었기 때문이다. 비수도권(충남)과 수도권(경기)의 상생 모델로 추진되는 황해청은 2025년까지 18년간 총 7조 4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었다. 45조원의 천문학적인 생산유발 효과와 28만여 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의 기폭제로 작용할 것으로 황해청은 전망했다. 하지만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면서 2011년 당초 면적(55㎢)의 71.3%가 줄어 15.8㎢로 조정됐다. 서산 지곡지구의 경우 몸집이 너무 커 개발에 나서는 것이 무리라는 판단에 따라 지구지정도 해제됐다. 감사원은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황해청 정원도 함께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애초 개발 계획은 어떻게

충남 당진시, 아산시, 서산시 일원과 경기 평택시, 화성시 일원의 5506만 1000㎡ 부지에 우리나라의 경제의 활로 모색을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 거점이 탄생하는 야심 찬 프로젝트가 2007년부터 시작됐다. 충남이 3개 지구에 2959만 7000㎡, 경기가 2개 지구에 2545만 4000㎡ 등이다.

이 가운데 당진 송악지구는 황해경제자유구역의 중심지로서 자동차 부품산업, 전자·정보 산업과 국제비즈니스 기능이, 아산 인주지구는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산업, 관광위락 기능이, 서산 지곡지구는 첨단 자동차 부품산업 기능이 각각 구축될 예정이었다.

개발이 완료되면 총 5개 지구에 10만여 세대, 23만 명의 인구가 유입될 전망이었다. 인구 5만여 명의 미니 신도시 5개가 새로 생겨나는 셈이다.

황해청은 전국적으로 약 4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5조 500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기대했다.

◆출범 초에도 문제점 산적

어마어마한 자금이 들어가는 만큼 당시에도 기대와 우려는 엇갈렸다.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새만금 개발 등의 틈바구니에서 특화 모델을 창출해야 하고, 성패의 관건인 외국인 투자 유치 등 만만치 않은 과제도 안고 있었다. 무엇보다 6조 9204억원의 민자와 외자 유치는 가장 큰 부담이었다.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전북의 새만금 개발지역의 중간에 입지, 차별화한 성장모델을 구축해야 하는 점도 과제로 꼽혔다. 이런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 개별기업들의 투자유치는 이뤄지고 있지만, 규모가 큰 개발사업은 사업자 선정에 애를 먹는 모습이다.

황해청 관계자는 “사업자 선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사업 의사를 표명한 업체가 있어 사업자 선정을 당초 1월에서 3월까지 연장하기로 한 상태다”고 말했다.

이종원 기자 jwon@cctoday.co.kr

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