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제18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보수·우파 정권을 재창출한 것이다. 헌정사상 첫 여성 대통령 배출 의미 이외에도 박정희 전 대통령 딸의 대통령 당선이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그가 표방했던 '100% 대한민국' '세상을 바꿀 박근혜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할 것이다.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처음으로 보수-진보 진영 구도로 치러진 이념 대결 속에 세대·지역·계층 간 갈등 또한 예사롭지 않다. 정책이슈마저 실종됐다. 선거 막판 국정원 여직원 사건, SNS 불법선거 운동 논란 등을 싸고 네거티브 공방전으로 얼룩졌다. 투표율이 75.8%로 예상보다 높게 나왔고, 박 당선인이 근소한 표차로 승리했다는 건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다.
통합 리더십이 그만큼 절실하다. '산업화 세력과의 화해'라는 역사적 상징성은 가볍지 않다. 불통, 수구적인 보수, 콘텐츠 부족, 민주적 리더십 부족이라는 일각의 지적이 마음에 걸린다. 과거사 논란 또한 마찬가지다. 정치개혁·국정쇄신 문제는 지속 추진돼야 할 시대적 과제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구성 및 운영 과정은 국정스타일을 검증하는 첫 관문이다. 부패·무능 정권으로 몰락했던 역대 사례가 반복돼선 곤란하다.
차기 정부 경제여건은 그리 만만치 않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2%대에 머물고 내년에도 나아질 기미를 예단키 힘들다.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 중국 등 주요국가의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우리의 저성장 구조 속에서 민생문제가 최대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경제 민주화, 복지,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한반도 주변 정세 역시 안정적이지 않다. 도전 요인이 상당히 복합적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 2기 내년 출범, 중국 시진핑 체제 출범, 우경화·군사대국화 성향의 일본 자민당 재집권 등으로 동북아 주변 환경이 재구성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지난 12일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둘러싼 대북 제재 논의가 삐걱거리고 있다. 한국의 외교안보적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무엇보다도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가치를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세종시 명품도시화, 과학벨트 지원, 충남도청 이전, 충청권 광역철도망 사업 조기 추진, 대전도시철도2호선 건설, 청주통합시 지원, 충북 내륙교통 인프라 구축, 청주공항 육성 등의 지역 현안도 차질 없이 추진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