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9 대선 한달을 앞두고도 각 후보들의 충청 지역개발공약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그간 각 후보들이 지역을 방문하는 자리에서 산발적으로 발표한 내용이 중심을 이룰 뿐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비전을 담은 지역공약은 찾아보기 힘들다. 각 후보 간 공약을 비교·검증할 기회가 제약되고 있다는 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충청권의 경우 종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후보의 공약을 살펴보건대 그간 지역에서 추출한 주요 지역현안에 대해 대체로 공감하는 수준의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대신 구체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기에는 미진한 구석이 많다. 구호성 총론만 난무한 가운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각론은 아직도 선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니 각 후보 진영이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세종시 문제는 조금 낫다. 유력후보 3명 모두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자족성 보강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박근혜 후보가 서울대 일부 대학 이전이나 서울대 병원 분원 등의 세종시 이전 문제를 흘리기는 했으나 실현성 여부가 아직 미지수인데다 정식공약으로 채택되지도 않았다. 문재인 후보는 청와대 집무실·국회분원 세종시 설치 등을 통해 세종시 마무리 투수를 자임하고 있다. 안철수 후보도 자족도시로서의 중요성을 감지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정작 누구도 공약으로 확정·제시한 후보는 없다.

과학벨트, 충남도청 이전, 서해안 유류피해 배·보상, 충청권 광역철도망 사업의 조기 착공, 청원-청주 통합시 지원책, 청주국제공항 경쟁력 강화, 충청내륙고속화도로 조기 건설 등에 대해서도 후보 간 정책의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 그나마 구체적 내용에 대해 각 진영이 공약 확정을 미루고 있으니 유권자만 혼란스럽다. 야권 단일화 일정을 의식한 측면이 강하다.

지역유권자들이 지역개발공약에 관심을 갖는 건 당연하다. 일극중심의 국정운영 기조에서는 지역 간 균형발전의 의미가 작지 않다. 내 고장 삶의 질을 중앙정부에서 쥐락펴락하는 현실이기에 그러하다. 대통령 선거는 국가권력이동의 정당성 확보 절차라는 본래적 기능만 있는 게 아니다. 지역 유권자들과의 지역정책을 공유하기 위해 실현가능한 공약을 제시해야 할 책임이 각 후보들에게 있다. 선거 일정을 감안하더라도 지역개발공약 확정을 더 이상 미룰 수가 없다.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