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이 겨울철로 접어듦에 따라 금강 물고기 집단폐사에 대한 원인 규명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오며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금강 물고기 집단폐사와 관련 정부의 민관합동공동조사 계획이 논란만 일으키며 아무런 활동도 펼치지 못한 가운데 결국 초겨울에 접어들며 금강 환경 여건에 변화가 왔기 때문이다.
14일 충남도에 따르면 금강 물고기가 집단으로 폐사한 지 한 달여가 됐지만, 여전히 환경부의 민관합동공동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물고기가 죽어나가기 시작한 시점부터 정부의 초동대처와 원인 규명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진 가운데 환경부가 뒤늦게 민관합동공동조사를 들고 나왔지만, 시간만 끌었다.
민관합동공동조사인 만큼 독립적인 공동조사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게 민간단체의 주장이지만, 환경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처럼 조사 방법을 놓고 정부가 시간을 지연하는 가운데 기온이 크게 떨어지고 금강 수량이 줄어드는 등 금강 환경이 급변했다는 점이다.
이상진 충남발전연구원 박사는 “(폐사 당시보다) 강의 수위가 많이 낮아졌다. 물이 빠진 만큼 유속이 빨라져 수중 유기물이 쓸려나가게 되고 퇴적토도 일부 떨어져 나가게 된다”며 환경 변화 요인을 설명했다.
이 박사는 또 “서식하고 있는 물고기의 개체 수도 크게 줄고 기온도 떨어져 수중 용존산소량이 풍부해졌다. 이 같은 현상은 저층 퇴적토에도 영향을 미친다”면서 “당시 물고기 서식 환경을 집중적으로 조사해 폐사 원인을 밝혔어야 했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이와 관련 충남도 또한 일단 정부의 향후 움직임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에 머물러 있어 원인 규명 조사는 더욱 멀어질 것으로 보인다.
도 관계자는 “조사단 구성을 위한 논의가 끝난 것은 아니다. 일단 지켜봐야 한다”며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 시 별도의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기가 늦어져 원인 규명이 어려운 만큼, 하루빨리 조사에 착수해 폐사 이유에 대한 개연성 정도는 조속히 밝혀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진단이다.
이상진 박사는 “하루빨리 조사를 시도해야 하고 지속적인 관찰을 해야 한다”며 “원인을 밝히지 못하면 개연성이라도 밝혀서 이 같은 재앙의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 개연성을 근거로 금강의 유속과 퇴적, 흐름 등의 변화를 관리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드는 게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강 본류 최악의 물고기 집단폐사는 지난달 17일 백제보 상류 1㎞~하류 8㎞ 구간에서 발생했다. 지역 시민단체는 10여만 마리 이상의 물고기가 폐사한 것으로 집계하고 있지만, 정부 측은 5만 4000여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공식 집계해 다소 엇갈리는 수치를 보이고 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