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페어링 분리 장면 상상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최종 발사가 결정된 나로호는 발사 15분 전부터 이륙 직전까지 1단과 2단의 발사관제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는 발사 카운트다운(PLO)에 돌입한다. 카운트다운이 ‘0’에 맞춰 이륙한 나로호는 발사 54초 후 음속을 돌파한다.
발사 후 215초가 되면 나로호는 고도 177㎞에 도달해 페어링을 분리시키고 나로과학위성을 궤도에 올릴 준비에 들어간다. 이 때 패어링은 발사장에서 약 2270㎞ 떨어진 필리핀 동쪽 공해상에 낙하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 발사 229초 만에 1단 엔진이 정지하고, 232초에 1단 로켓부가 분리되며 낙하 예상지역은 발사장으로부터 약 2700㎞ 떨어진 공해상이다. 1단 엔진 정지 후 2분 40초 가량을 관성으로 비행한 나로호는 발사 395초 후 우리나라가 자체 제작한 2단 고체 로켓을 점화시켜 58초 동안 연소시켜 목표 궤도에 도달한다.
그리고 발사 후 540초 나로과학위성을 분리시킴으로써 그 임무를 다할 예정이다. 발사 과정 동안 나로우주센터와 제주추적소에서 레이더와 원격수신장비, 광학추적장비 등을 통해 나로호를 실시간 추적하며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된 정보는 발사체 비행 궤적 및 비행 자세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발사통제동(MCC)은 수신된 자료를 분석하고, 만약 비정상적인 비행이 감지될 경우 나로호 비행을 강제 종료시키게 된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