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에 돈을 빌린 주부가 늘면서 연체율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노회찬(진보정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국내 상위 10개 대부업체들의 연체율은 12.2%로 전년보다 곱절 가까이 올랐다.
이는 소득이나 부채 등을 따지지 않고 빌려주다 보니 당연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2010년 말 연체율은 6.3%로 조사됐고, 지난해 6월 말에는 7.1%, 12월 말에는 9.3%, 올해 6월 말에는 12.2%로 꾸준히 상승해왔다.
대부업체별로는 에이앤피파이낸셜이 12.3%에서 16.1%로 3.8%포인트 늘었으며, 산와대부도 8.9%에서 11.2%로 2.4포인트 증가했다.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에이앤피파이낸셜의 계열의 원캐싱으로 지난해 16.2%보다 5.4%포인트나 오른 21.6%를 기록했다.
같은 계열사인 미즈사랑대부의 연체율도 지난해 9.3%에서 올해 상반기 15.6%로 급등했다.
노 의원은 “생활비 명목으로 연38%의 고금리 대출을 빌려쓰도록 내모는 사회가 문제”라며 “고금리 다중채무를 진 주부대출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저금리 전환대출이나 서민금융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이는 소득이나 부채 등을 따지지 않고 빌려주다 보니 당연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2010년 말 연체율은 6.3%로 조사됐고, 지난해 6월 말에는 7.1%, 12월 말에는 9.3%, 올해 6월 말에는 12.2%로 꾸준히 상승해왔다.
대부업체별로는 에이앤피파이낸셜이 12.3%에서 16.1%로 3.8%포인트 늘었으며, 산와대부도 8.9%에서 11.2%로 2.4포인트 증가했다.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에이앤피파이낸셜의 계열의 원캐싱으로 지난해 16.2%보다 5.4%포인트나 오른 21.6%를 기록했다.
같은 계열사인 미즈사랑대부의 연체율도 지난해 9.3%에서 올해 상반기 15.6%로 급등했다.
노 의원은 “생활비 명목으로 연38%의 고금리 대출을 빌려쓰도록 내모는 사회가 문제”라며 “고금리 다중채무를 진 주부대출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저금리 전환대출이나 서민금융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