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 충남지역 각 소방서에 배치된 방사선보호복과 방사선량 측정기의 노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 여파로 주민 불안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위급 상황 발생 시 ‘인명구조’ 역할을 담당할 소방관의 안전장비 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선진통일당 김영주 의원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소방서별 방사선보호복 및 방사선량 측정기 노후율’에 따르면 지역 소방서가 보유한 방사선 보호복은 114벌(대전 78, 충남 36), 방사선량 측정기는 163개(대전 112, 충남 51)로 밝혀졌다.
이 중 기준치인 5년 이상 경과한 노후 방사선보호복은 대전 23벌(29.5%), 충남 25벌(69.4%)이며, 방사선량 측정기도 대전 69개 (61.6%), 충남 28개(54.9%)에 달했다.
대전은 방사선량 측정기가, 충남은 모든 안전장비의 절반 이상이 노후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물론 지역엔 원자력발전소 등 위험 시설이 들어서 있지 않아 비교적 방사선 사고에 대한 불안감은 적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전쟁이 끝나지 않은 휴전국이며 북한의 끝없는 핵미사일 위협과 지역에 중요 군사시설이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방사선 안전 불감증은 자칫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대전의 경우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핵연료와 원자로에 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언제든 방사선 누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실제 지난해 2월 하나로 시설에서 방사선 누출로 백색비상이 발령되는 등 근무 직원들이 긴급 대피하고 원자로 가동이 정지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김영주 의원은 “방사선보호복은 소방공무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방사선량 측정기는 사고예방과 대응조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치”라며 “하루빨리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노후 장비의 신속한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