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각종 부작용이 또다시 제기되고 있다.

학업성적뿐 아니라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보고 선발한다는 취지로 2008학년도부터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는 공교육을 살리고 사교육 폐해를 줄일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로 '정착단계'에 들어섰음에도 보완할 점은 여전히 많다는 지적이다.

11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태원 의원(새누리당, 경기 고양 덕양을)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입학사정관제로 정부 지원을 받는 66개 대학의 입학사정관 618명 중 비정규직은 352명(57%)으로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분이 불안하다보니 다른 대학 등으로 자리를 옮기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올 6월 기준으로 전체 618명 중 107명(17.3%)이 다른 대학 입학사정관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77명(12.4%)은 대학 강사, 고등학교 교사, 대교협 등 교육기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20대 입학사정관이 전체의 23.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정성 시비도 일고 있다.

입학사정관들의 연령을 살펴보면 20대가 148명(23.9%)으로 4명중 1명 가량이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30대가 307명(49.7%)으로 가장 많았으며, 40대 119명(19.2%), 50대 이상 44명(7.1%)이다.

또 여성이 334명(54%)으로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입학사정관제에 따른 부작용도 나오고 있다.

대교협에 인증된 기관이 아닌 사설 협회(한국입학사정관협회)까지 등장했다.

사교육을 없애겠다는 입학사정관제가 또 다른 사교육시장을 만들고 있는 셈이다.

이 기관은 이틀 동안 총 16~20시간을 교육하고 수강료로 50만 원을 받고 있었다.

교육을 마치면 국가로부터 인증 받지 않은 협회차원의 수료증, 입학사정관 지도사 자격증 등을 주는 등 각종 폐해에 따른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김태원 의원은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허위 조작서류를 걸러내기에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부정행위에 대해서는 가혹할 정도의 대가를 치르게 해야 한다”며 “고교, 대학 간 신뢰가 무너지면 입학사정관제도 존재할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입학사정관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이다보니 신분이 불안한 입학사정관들이 다른 직종으로 이직하고 있다”며 “특히 인력풀이 형성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각 대학들이 선발인원을 경쟁적으로 확대하면서 대학 간 인적 이동도 빈번해진 상황으로 입학사정관 신분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근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