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노은지구와 도안신도시를 중심으로 매매 및 전세 매물이 빠르게 자취를 감추고 있다.

세종시 정부청사 입주 및 정부 ‘9·10 경기부양대책’ 등의 수혜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동안 하락세를 보이던 대전지역 주택가격 반등과 주택거래 활성화가 기대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23일 오전 노은지역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는 집을 보러 온 수요자들 2~3팀이 중개업자의 통화가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중개업자는 통화가 끝난 후 이들 수요자에게 “집주인이 집에 없어 집을 볼 수 없을 것 같으니 약속을 다시 잡아야될 것 같다”고 말하며 진땀을 흘렸다. 이 업자는 “최근 매매와 전세를 가리지 않고 집을 내놨던 소유자들이 약간 소극적으로 변하면서 매물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한달 새 등록됐던 매물이 30% 이상 취소된 상황”이라며 “한달 전부터 일부 집주인들이 가격을 좀 더 올려달라거나 아예 등록된 매물을 빼달라고 부탁하는 전화를 걸기도 하는 등 집을 못 팔아 전전긍긍했던 상반기의 모습과는 다른 양상이 펼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노은지역에 매물이 사라지는 이유와 관련해 부동산업계는 세종시 정부청사 본격 입주 이후 중소형 면적대 아파트들을 중심으로 전세매물을 구하기 어려워진 수요자들이 매매 의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와 관련, 김종호 부동산114 충청지사장은 “대전지역에 그동안 이렇다 할 입주물량이 없다보니 전세물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노은지역의 경우 세종시 정부청사 입주 후 공무원들의 통근권에 있어 전세의 경우 공급 대비 수요가 많은 상황”이라며 “아직 ‘매물 실종’을 거론할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현재 대전지역 집값이 ‘바닥’이지 않느냐는 심리가 확산되면서 최근 주택을 구입하려는 수요자들의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은 도안신도시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도안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정부가 발표한 ‘9·10 경기부양대책’에 따른 미분양 물량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도안신도시 아파트들의 ‘제값’이 매겨질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매매는 물론 전세 물량도 크게 줄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여기에 도안호수공원 건설이 가시화되면서 도안신도시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 나오면서 주택거래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져 집값 반등을 기대하는 주택 소유자들의 관망세가 확산되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에 대해 정재호 목원대 금융보험부동산학과 교수는 “아파트 가격이라는 것은 우선 미분양이 없어야 ‘제값’이 설정되는 것인데 최근 정부의 경기부양대책에 따라 도안신도시 지역에 미분양이 다소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그 가격을 기다리는 주택소유자들이 늘고 있다”며 “여기에 도안호수공원 건설 가시화, 세종시 청사 본격 입주 등이 진행되면서 다소 주춤했던 대전지역 집값 반등의 기대감이 도안지역과 노은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