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충남·북 대학 졸업생들의 타 시·도 인력 유출이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내 안정적인 취업기반이 매우 취약한 게 원인으로, 지방의 인력 유출-지방대 위기-지방 경쟁력 저하의 악순환 구조가 타 시·도보다 고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보가 한국개발연구원의 ‘지방대학 문제의 분석과 시사점’이란 정책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출신 대학 소재지와 취업 근무지가 일치하는 비율은 대전의 경우 2명 중 1명, 충북은 3명 중 1명, 충남은 5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보가 2007년 4월 1일 기준 취업 상태인 대전, 충남·북 4년제 대학 졸업생 3만 574명(2006년 8월과 2007년 2월 대졸자)에 대한 취업 이동경로의 전수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대전은 2007년 대졸 취업생 7850명 중 46.4%가 대전 소재 기업체 등에 취업했고, 서울에 20.8%, 충남 10.2%, 경기 8.8% 등 취업을 이유로 지역을 떠났다.

충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지역정착률을 보이며 사실상 수도권의 인력 공급처로 전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대졸 취업생 1만 5052명 중 충남 소재 기업체에 취업한 비율은 20.6%에 그쳤고, 10명 중 6명은 서울(40%)과 경기도(22.1%)등으로 삶의 거처를 옮겼다.

충북은 취업생 7672명 중 충북도내 정착한 비율과 서울로 자리를 옮긴 비율이 각각 33.1%로 나타난 가운데 경기도에도 17.2%가 이동해 대졸 취업자 절반가량이 수도권으로 유출됐다. 반면 제주와 서울, 울산은 각각 78.3%, 74.6%, 68.8%의 높은 지역 내 취업률을 기록해 지역산업과 연계한 안정적인 인력수급 구조를 나타냈다.

또 경남 65.7%, 부산 59.0%, 광주 54.6%, 전북 51.9%, 대구 50.3% 등도 출신대학 소재지에서 취업에 성공해 지역인재 흡수율이 충청권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비서울지역 출신 대졸자는 서울지역 출신 대졸자보다 약 16% 낮은 임금을 받으며, 소규모 업체나 전공과 맞지 않는 직장에 다닐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국개발연구원은 분석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지방대의 발전이 지역경제의 발전을 견인하기보다 지역경제 성장이 그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위상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며 교육내용 차별화 등 지방대의 체질 개선을 역설했다.

또 “대학졸업생이 선호하는 대기업 본사 및 금융기관들이 밀집한 서울의 집적의 이익이 서울 소재 대학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지방정부도 책무성을 갖고 지역의 정주여건을 높이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최현애 기자 cch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