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권 속에서 충청권은 ‘홀대론’에 시달려 왔다.
정권의 부침 속에서 내각을 구성하는 주요 장·차관들은 언제나 권력 주도세력의 지역에서 차지했고, 충청 인물들은 ‘가뭄에 콩 나듯’ 간신히 한두 명 기용되는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2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도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
정부 출범 초기부터 ‘영남 정부’라는 비판이 잇따랐고, 이를 의식한 듯 정부는 몇 차례의 내각 인사에서 ‘지역안배’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고 강조해 왔다.
그 결과 표면상으로는 지역 별로 고르게 분포된 듯하다.
하지만 내부 사정을 뜯어보면 여전히 정부 권력의 ‘노른자’는 수도권과 영남 출신 인물들의 몫이며, 충청 인물들은 소외 아닌 소외를 받고 있다.
◆충청 인물 줄었다
2월 현재 이명박 정부 내 장·차관급 충청 인물은 모두 17명(장관 4명·차관 13명)으로 장·차관 120명 가운데 14.16%를 차지하고 있다.
현 정부가 자리를 잡아가던 무렵인 지난해 8월 장·차관급 충청 인물이 19명(15.18%)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줄어든 것이다.
당시에는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조중표 국무총리실장, 백용호 공정거래위원장 등 5명이 충청 인물로 포진해 있었지만, 지난달 19일 정부의 개각을 통해 조중표 국무총리실장이 물러나면서 충청 출신 장관급 인물은 4명으로 줄었다.
차관급 역시 지난해 8월 14명이었지만, 현재는 13명으로 1명 축소됐다.
당시 14명의 차관급 충청 인물 가운데 김동수 전 기획재정부 1차관과 김영호 행정안전부 1차관, 박덕배 농림수산식품부 2차관, 이봉화 노동부 차관, 한상률 국세청장 등이 현재 물러난 상태이며, 최민호 행안부 소청심사위원장, 정진철 행정도시건설청장, 윤진식 대통령실 경제수석, 전병성 기상청장, 조원동 국무총리실 사무차장 등이 새롭게 충청 인물로 기용됐다.
◆겉도는 충청 인맥
정부는 충청 인물의 인사에 대해 지역안배 차원에서 충분히 배려했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충청 홀대론’이 제기되는 이유는 정부 내각 전체를 놓고 보면 충청 인물에 대한 ‘보이지 않는 소외’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충청 인물들이 장관직을 맡고 있는 교과부와 지경부, 국토부, 공정위 등은 소위 정부 요직이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국정원과 검찰, 경찰, 국세청 등 이른바 4대 권력기관에는 충청 인사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반면, 영남 출신 인물들은 수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정부 핵심요직들을 꿰차고 있다.
차관급에서도 충청 인사들은 대부분 외청에 배치돼 있는 등 정부 핵심에서 소외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지난 17일 민주당 김진표 최고위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금융 공공기관장의 출신지역별 현황은 24개 기관 중 충청 인물은 단 2명(8.3%)에 불과했다. 반면 영남권은 16명(66.7%), 서울 3명(12.5%) 등이었다.
또, 금융공기업 최고경영자 9명과 감사 6명을 포함한 총 15명 중에서 충청 출신은 단 한 명도 없다.
이 뿐만 아니라, 청와대 인사라인인 인사비서관실과 총무비서관실에서 근무하는 인물 가운데 충청권은 단 1명에 불과했다.
일각에서 정부의 충청 인물 기용에 대해 ‘구색 맞추기’라고 저평가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충청 인물 폭을 넓혀야
이처럼 찬바람 부는 권력 현실 속에서 충청권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충청인 스스로 인재 육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 조직뿐만 아니라 정계와 학계, 재계 등에서도 그물망 같은 인맥을 형성해 차별적인 시선으로 인해 능력을 갖춘 충청 인물이 소외되거나 사장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출신 지역만 놓고 따지는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인맥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충고도 나오고 있다.
목원대 권선태 교수(행정학과)는 “지역에서 내각 구성을 놓고 홀대나 소외라는 주장이 되풀이되면서 정부가 이를 빌미로 오히려 장난을 치는 경우가 많다”며 “충청의 현안을 이해하고 설파하기 위해서는 정부 요직에 충청 출신 인물이 대거 포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정권의 부침 속에서 내각을 구성하는 주요 장·차관들은 언제나 권력 주도세력의 지역에서 차지했고, 충청 인물들은 ‘가뭄에 콩 나듯’ 간신히 한두 명 기용되는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2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도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
정부 출범 초기부터 ‘영남 정부’라는 비판이 잇따랐고, 이를 의식한 듯 정부는 몇 차례의 내각 인사에서 ‘지역안배’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고 강조해 왔다.
그 결과 표면상으로는 지역 별로 고르게 분포된 듯하다.
하지만 내부 사정을 뜯어보면 여전히 정부 권력의 ‘노른자’는 수도권과 영남 출신 인물들의 몫이며, 충청 인물들은 소외 아닌 소외를 받고 있다.
◆충청 인물 줄었다
2월 현재 이명박 정부 내 장·차관급 충청 인물은 모두 17명(장관 4명·차관 13명)으로 장·차관 120명 가운데 14.16%를 차지하고 있다.
현 정부가 자리를 잡아가던 무렵인 지난해 8월 장·차관급 충청 인물이 19명(15.18%)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줄어든 것이다.
당시에는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조중표 국무총리실장, 백용호 공정거래위원장 등 5명이 충청 인물로 포진해 있었지만, 지난달 19일 정부의 개각을 통해 조중표 국무총리실장이 물러나면서 충청 출신 장관급 인물은 4명으로 줄었다.
차관급 역시 지난해 8월 14명이었지만, 현재는 13명으로 1명 축소됐다.
당시 14명의 차관급 충청 인물 가운데 김동수 전 기획재정부 1차관과 김영호 행정안전부 1차관, 박덕배 농림수산식품부 2차관, 이봉화 노동부 차관, 한상률 국세청장 등이 현재 물러난 상태이며, 최민호 행안부 소청심사위원장, 정진철 행정도시건설청장, 윤진식 대통령실 경제수석, 전병성 기상청장, 조원동 국무총리실 사무차장 등이 새롭게 충청 인물로 기용됐다.
◆겉도는 충청 인맥
정부는 충청 인물의 인사에 대해 지역안배 차원에서 충분히 배려했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충청 홀대론’이 제기되는 이유는 정부 내각 전체를 놓고 보면 충청 인물에 대한 ‘보이지 않는 소외’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충청 인물들이 장관직을 맡고 있는 교과부와 지경부, 국토부, 공정위 등은 소위 정부 요직이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국정원과 검찰, 경찰, 국세청 등 이른바 4대 권력기관에는 충청 인사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반면, 영남 출신 인물들은 수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정부 핵심요직들을 꿰차고 있다.
차관급에서도 충청 인사들은 대부분 외청에 배치돼 있는 등 정부 핵심에서 소외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지난 17일 민주당 김진표 최고위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금융 공공기관장의 출신지역별 현황은 24개 기관 중 충청 인물은 단 2명(8.3%)에 불과했다. 반면 영남권은 16명(66.7%), 서울 3명(12.5%) 등이었다.
또, 금융공기업 최고경영자 9명과 감사 6명을 포함한 총 15명 중에서 충청 출신은 단 한 명도 없다.
이 뿐만 아니라, 청와대 인사라인인 인사비서관실과 총무비서관실에서 근무하는 인물 가운데 충청권은 단 1명에 불과했다.
일각에서 정부의 충청 인물 기용에 대해 ‘구색 맞추기’라고 저평가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충청 인물 폭을 넓혀야
이처럼 찬바람 부는 권력 현실 속에서 충청권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충청인 스스로 인재 육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 조직뿐만 아니라 정계와 학계, 재계 등에서도 그물망 같은 인맥을 형성해 차별적인 시선으로 인해 능력을 갖춘 충청 인물이 소외되거나 사장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출신 지역만 놓고 따지는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인맥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충고도 나오고 있다.
목원대 권선태 교수(행정학과)는 “지역에서 내각 구성을 놓고 홀대나 소외라는 주장이 되풀이되면서 정부가 이를 빌미로 오히려 장난을 치는 경우가 많다”며 “충청의 현안을 이해하고 설파하기 위해서는 정부 요직에 충청 출신 인물이 대거 포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