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정부출연연의 한 기관장의 부적절한 처신이 감사원 감사 결과 적발됐다. 주요 연구사업 담당자 등에게 지급되는 인센티브를 비자금으로 조성하고 단란주점 외상값을 직원들에게 대납시키는가 하면 법인카드 사용 남발, 친인척 채용, 겸직금지 규정 위반 등의 행태를 보면 입이 다물어 지지 않는다. 비리유형이 한둘 아닌데다 그게 반복적으로 저질러질 수 있었다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의 기관장은 2009년부터 성과급을 대상자들에게 지급한 것처럼 꾸민 후 현금으로 되돌려 받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어도 연임됐다. 아이러니로 비친다. 의문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하다.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부장급 연구원이 4명이나 된다. 비자금 용도로 지목된 골프장이나 단란주점 등에서의 지인 접대 방식 또한 마찬가지다. 업무상 로비수단으로 그랬다면 또 다른 2차 비리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도덕적 해이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관련 업무경력이 없는 친척을 채용하거나 청탁 인사 압력 등의 인사전횡도 서슴지 않았다. 책임연구원들을 불러 공공연하게 현금을 요구하는가하면 18차례나 외상 술값을 대신 갚도록 했다. 상급자의 눈치를 봐야 하는 직원심리를 십분 활용한 셈이다. 그러고도 이를 '연구기관 발전을 위한 관행'이라고 했다고 한다. 이래도 되는지 모르겠다. 사안의 심각성 따위는 안중에도 없었다는 방증이다.
'비리백화점'이라는 공분을 사는 것도 결코 무리는 아니다. '출연연 40년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라고 규정한 전국공공연구노조의 성명도 같은 맥락이다. 그 수법이 무척 지능적이다. 범행수법이 날로 진화되고 있다. 국책사업 수주나 사업성 평가과정에서 거액의 뇌물을 받거나 연구용역 서류를 조작해서 용역비를 빼돌리는 것은 이미 고전적인 수법에 속한다. 얼마 전엔 지식경제부 소속 공무원이 뇌물과 향응을 받은 혐의로 사법 처리되기도 했다.
이제 더 이상 방치할 수는 없다. 엄중하게 따져 볼 단계에 이르렀다. 국민혈세로 조성된 국고를 '눈먼 돈' 쯤으로 여기는 연구 비리도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연구는 뒷전인 채 돈에 양심을 팔수는 없는 일이다. 얽히고설킨 '부패의 검은 커넥션'을 뿌리째 뽑아내려는 의식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고도의 직업윤리 정착을 위해선 인사제도의 투명성·공정성 확보가 시급하다. 출연연 기관장 선임시스템부터 제대로 손을 봐야 한다.
문제의 기관장은 2009년부터 성과급을 대상자들에게 지급한 것처럼 꾸민 후 현금으로 되돌려 받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어도 연임됐다. 아이러니로 비친다. 의문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하다.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부장급 연구원이 4명이나 된다. 비자금 용도로 지목된 골프장이나 단란주점 등에서의 지인 접대 방식 또한 마찬가지다. 업무상 로비수단으로 그랬다면 또 다른 2차 비리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도덕적 해이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관련 업무경력이 없는 친척을 채용하거나 청탁 인사 압력 등의 인사전횡도 서슴지 않았다. 책임연구원들을 불러 공공연하게 현금을 요구하는가하면 18차례나 외상 술값을 대신 갚도록 했다. 상급자의 눈치를 봐야 하는 직원심리를 십분 활용한 셈이다. 그러고도 이를 '연구기관 발전을 위한 관행'이라고 했다고 한다. 이래도 되는지 모르겠다. 사안의 심각성 따위는 안중에도 없었다는 방증이다.
'비리백화점'이라는 공분을 사는 것도 결코 무리는 아니다. '출연연 40년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라고 규정한 전국공공연구노조의 성명도 같은 맥락이다. 그 수법이 무척 지능적이다. 범행수법이 날로 진화되고 있다. 국책사업 수주나 사업성 평가과정에서 거액의 뇌물을 받거나 연구용역 서류를 조작해서 용역비를 빼돌리는 것은 이미 고전적인 수법에 속한다. 얼마 전엔 지식경제부 소속 공무원이 뇌물과 향응을 받은 혐의로 사법 처리되기도 했다.
이제 더 이상 방치할 수는 없다. 엄중하게 따져 볼 단계에 이르렀다. 국민혈세로 조성된 국고를 '눈먼 돈' 쯤으로 여기는 연구 비리도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연구는 뒷전인 채 돈에 양심을 팔수는 없는 일이다. 얽히고설킨 '부패의 검은 커넥션'을 뿌리째 뽑아내려는 의식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고도의 직업윤리 정착을 위해선 인사제도의 투명성·공정성 확보가 시급하다. 출연연 기관장 선임시스템부터 제대로 손을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