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회지방살리기포럼 창립총회가 3일 국회에서 지방 국회의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창립총회에는 새누리당 이병석 국회부의장과 민주통합당 박병석 국회부의장,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 대표, 박성효 의원 등 여야에서 모두 함께 참여했으며 새누리당 이철우, 민주통합당 김영록 의원이 대표의원을 맡았다. 연합뉴스 | ||
충청권 국회의원 다수가 참여하는 ‘국회 지방살리기 포럼’이 3일 국회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본격적으로 지방을 살리기 위한 활동에 돌입했다. 하지만 정권 말이면 ‘단골손님’처럼 등장하는 정치권의 ‘지방 살리기 외침’이 과연 얼마만큼 실효성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포럼 관계자에 따르면 수도권을 제외한 여야 국회의원 40여명이 참여하는 이번 포럼에는 충청권 의원 7명도 포진해 있다.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동구), 박성효 의원(대덕구), 박덕흠 의원(보은·옥천·영동), 송광호 의원(제천·단양), 김근태 의원(부여·청양), 민주통합당 이상민 의원(유성구), 선진통일당 성완종 의원(서산·태안) 등이 지방 살리기에 앞장서고 있는 것.
이처럼 지역 의원들이 지방 살리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 공동화로 양극화 문제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의 움직임에 이목이 쏠릴 수밖에 없다. 이들은 앞으로 소속 상임위원회를 중심으로 지방 살리기와 관련한 의정 활동을 펴면서 영역을 넓혀간다는 복안이다. 또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 위원회와 전국 시·도지사협의회 등 관계기관 및 단체들과 폭넓은 의견을 교환하고 사안에 따라 연대나 협력을 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들의 움직임에는 불편한 진실이 담겨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선을 앞두고 보여주기식, 지방 표를 얻기 위한 정치적 행보가 아니냐는 시선이 적지 않다.
특히 이들의 이런 의지와 별개로 계획만 세워 놓고 구상을 뒷받침할 법·제도적 후속조치와 구체적인 활동 방안과 계획도 미흡한 상황이어서 시작과 동시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실제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정권 말인 2007년 당시에도 이와 성격이 비슷한 ‘지방 분권을 위한 포럼’이 발족해 활동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처음에만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을 뿐, 시간이 흐를수록 모임 횟수와 참여하는 의원이 절반 이상 줄어들면서 결국 흐지부지 꼬리를 내렸다.
포럼에서 연구 책임위원을 맡은 이장우 의원은 “포럼의 성패는 참가 의원들이 얼마나 초심을 잃지 않느냐에 달렸다”며 “비수도권 의원들만 똘똘 뭉쳐도 지방의 양극화 해소는 금방 이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파의 이해관계를 떠나 실천하겠다는 의지와 열정이 필요하다”면서 “실질적으로 법·제도화가 급선무이다. 상시적 채널을 확보해 지방과 중앙의 소통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