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그동안 무분별하게 남발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용역발주에 급제동을 걸기 위한 ‘대전시 기술용역 자체 설계 기준’이 이달 중으로 최종 확정된다.
대전시가 자체 설계기준 마련을 위해 관련 부서 및 구청 담당자의 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를 잇따라 열고, 설계 범위 및 인센티브 지원방안 등을 마무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8월 15일자 2면 보도>
시는 이 기준이 확정되면 도로, 상·하수도 등 각종 기술용역에 소요되는 시민의 세금이 크게 절약되는 것은 물론, 보다 효율적인 예산집행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시가 직접 '기술용역 자체 설계기준'을 마련하고 나선 것은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사업이 아닐 경우 공무원이 직접 설계해 시민들의 세금을 한 푼이라도 아껴 쓰자”는 염홍철 시장의 주문에 따른 것이다.
기술용역 자체 설계기준은 도로, 상·하수도, 건축, 기계·전기, 조경·공원, 시설물 유지관리 등 총 7개 분야에 걸쳐 마련되며, 이 기준이 시행되면 연간 500여 건의 기술용역을 의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년 30억 원 이상의 예산 절감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최근 토론회를 통해 ‘설계 능력 배양을 위한 실무 CAD(컴퓨터 지원설계) 프로그램 교육 시행방안’을 비롯해 ‘기술용역 자체 설계 기준에 대한 사면안정성 검토 및 구조해석이 필요한 외부용역 시행’ 등 예외조항, ‘공동설계실 운영방안’ 등 15건의 의견을 수렴, 자체 설계기준에 최대한 반영키로 했다.
진세식 시 정책기획관실 기술관리담당은 “기술용역 자체 설계기준이 마련되면 무분별한 용역발주에 제동이 걸리는 것은 물론, 시민들의 귀중한 세금이 허투루 낭비되는 일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며 “예산 절감에 기여하면서 기술직 공무원의 업무능력 향상에도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