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정부의 4대강 사업 이후 금강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 모니터링 연구용역’을 추진했으나 뚜렷한 결론을 얻지 못해 추가 보완에 들어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대강 사업 전·후를 비교할 시 수질이 오히려 개선됐지만, 연구 범위가 좁고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도 제대로 분석되지 않아 연구를 보완해야 한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그러나 도의 이번 보완 요청을 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일각에서는 수질 악화를 전제로 시작한 연구가 예견한 결론을 얻지 못해 추가 보완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보이는 한편, 최종 연구보고를 앞두고 도가 충분한 검토를 했어야 한다는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도는 3일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 모니터링’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했으나 연구 범위와 변수 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추가 연구 보완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4대강 사업 후 수질과 생태계 변화가 예견되는 금강의 보전과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으로 총 4400만 원을 투자, 지난해 11월 7일 착수했다.

용역 결과를 보면 수질부문에서 금강 본류의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와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이 낮아져 수질이 오히려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생태 부문은 금강정비사업 이전과 비교 시 보 주변 자연둔치가 훼손됐고, 각종 준설과 공원조성 등으로 하중도와 습지도 손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보와 각종 수변 둔치 시설 관리도 미흡하고 생태교란 종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도는 이번 연구 결과를 놓고 이러저러한 이유로 추가 보완을 요청했다. 수치상 수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단순 수질 검사만으로는 금강정비사업과 수질 변화와의 인과관계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게 도의 주장이다.

금강 수계에 공주보 등 3개의 보가 설치됨에 따라 금강 흐름에 정체구역이 생기고, 그 결과 오염물질이 하부로 퇴적하는 만큼 이에 대한 검사도 추가로 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또 수질 모니터링의 성격상 6개월에 걸친 조사는 시간이 여유롭지 못하고, 하천 단면 변화에 대한 측정도 범위도 좁아 연구 대상지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용역의 추가 보완을 요청했다.

도 관계자는 “자문위원회 결과 오염 퇴적 물질과 연구 범위 등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용역은 1단계 사업으로 부족한 부분은 2단계 사업에서 추가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