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경선후보가 참여정부 시절의 정책을 이어 받아 제2의 국가 균형발전을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한국지역언론인클럽 제공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경선 후보는 “참여정부 시절 고(故) 노무현 대통령의 정책을 한 단계 발전시킨 ‘제2의 국가균형발전’을 추진하겠다”며 “각 지방에 권한과 재정을 주는 지방분권을 통해 우리나라를 중앙집권형 국가에서 지방분권형 국가로 전환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한국지역언론인클럽과의 공동인터뷰에서 “국가적인 문제의 해법을 각 지역에서 찾을 것”이라며 “각 지역이 수도권 집중, 대기업 중심, 사회양극화의 문제를 해소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 사회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원천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는 세종시 정부부처 및 소속기관의 이전 시기에 대해 “이전 과정에서 공무원의 주택문제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도 발생하겠지만 이런 문제 때문에 정부부처 이전을 지연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 세종시에 국회 분원 및 청와대 제2집무실 설치를 요구하는 지역민의 목소리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후보는 “세종시는 당초 참여정부가 행정수도로 추진했던 곳인데 헌재의 위헌 결정 때문에 행정중심도시로 위상을 바꾼 곳”이라며 “실질적인 행정수도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대통령 집무실 분실 설치 공약을 검토 중이다. 그렇게 된다면 국회에서도 분원 설치를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후보는 오송 생명공학단지 발전과 관련해 “국립암센터 분원 등 보건의료 국책 기관에 대해 현재 지역 간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저는 똑같은 기능을 여러 지역에서 나눠 갖는 것이 아닌, 서로 다른 기능을 각 지역이 특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위해 오송에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 병원을 건립해 세계적 의·과학 중심지로 육성할 것이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KTX 오송역세권을 쾌적한 정주환경과 경쟁력 있는 기업입지를 갖춘 신도시로 발전시키겠다”며 적극성을 보였다.

문 후보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과 관련해 “충청권은 지방은행 보유 지역에 비해 지역자금의 역외유출비율이 유난히 높고 충청권 중소기업 대출비율이 턱없이 낮은 것이 현실”이라고 평가한 뒤 “지역밀착형 지방은행의 설립·육성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차기 정부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국정현안으로 일자리 창출을 꼽은 문 후보는 “대통령이 된다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고 일자리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자리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어떤 일자리든지 최저임금 보장, 사회보험 적용, 비정규직 제한 등과 같은 최소 기준이 지켜지도록 법과 제도를 강화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 ‘국가일자리위원회’를 설치하고, 매달 ‘일자리점검 범정부회의’를 개최해 일자리 혁명을 진두지휘할 것”이라며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문 후보는 남북관계의 회복을 위해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며 “한반도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남북경제연합 건설 5개년 계획’을 수립, 남북의 협력성장을 발판으로 북방대륙경제권으로 진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금강산 관광 재개 △5·24 조치 폐지 △남북철도 연결을 통한 이산가족 상봉 재개 등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이를 위해 내년 6월 15일에 즈음해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북한과 함께 포괄적 합의를 해 나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서울=이병욱 기자 shod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