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학교폭력 2차 실태조사가 시행도 하기 전부터 실효성 논란에 휩싸였다.

<13일자 6면 보도>

특히 학교폭력 1차 실태조사와 같이 목적성이 불분명하다는 의견과 함께 응답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일 뿐 학생들의 학교폭력실태를 파악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조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입장이다.

16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오는 27일부터 내달 중순까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제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사례를 중심으로 질문했던 1차 조사때의 방식을 벗어나 학교폭력 피해사례를 비롯,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학교폭력 가해 사실도 함께 조사한다.

올 초 학교폭력 1차 조사때와 크게 변화된 점은 온라인 조사방법으로의 전환이다.

서면이 아닌 온라인으로 조사해 응답률을 높이고, 조사 결과는 오는 11월 학교알리미 사이트를 통해서만 공개한다는 것이 크게 달라진 점이다.

이렇게 학교폭력 1차 실태조사와 큰 틀의 변화를 꾀했지만 일선 학교 현장에서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조사 결과 발표 이후 학교폭력 피해율 전면 공개에 따른 현장의 반발이 워낙 컸기 때문인지 응답률을 높이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 이번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거는 기대감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전의 한 중학교 교사는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통해 교육당국이 무엇을 파악하기 위한 것인지 목적성이 불분명한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며 “1차 조사때는 응답률이 높아 피해를 본 학교가 어딘지가 이슈 였을 정도로 조사방법에 문제가 있었고, 2차 조사도 온라인 조사와 함께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넣어 큰 변화를 줬다는 설명이지만 학생들에게 진실한 답변을 듣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관련 전문가들은 각 지역별로 특색있는 학교폭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방법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충남 B중학교 학생생활부장은 “학생들에게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무엇을 위해 실시하고 이러한 의견은 어떠한 정책반영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설명이 우선돼야 한다”며 “학교폭력 실태조사가 어른들이 아이들의 생활을 엿보기 위한 수단으로 흐를 경우 학생들의 답변은 형식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각 지역별로 교사들로부터 학생들의 특성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그 지역에 맞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조사를 실시한다면 유용한 정보로 쓰일 수 있고 학교현장에서 아이들을 지도할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