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엑스포과학공원에 잠실롯데월드보다 6배 이상 넓은 복합테마파크를 조성하는 롯데 측의 제안이 어제 공개됐다. 공원 내 33만㎡ 부지에 테마파크와 워터파크, 문화수익시설에 어떤 콘텐츠를 담느냐가 관심사다. 대기업 특유의 '수익성'에 치중하면 엑스포 공원 조성의 당초 취지는 상대적으로 뒤로 밀릴 수밖에 없다. '공익성'을 어느 선까지 유지·확보할 것인가. 이게 핵심이다.

엑스포 공원에 민자 유치를 하는 건 필연적이다. 1993년 대전엑스포 개최 이후 과학체험 공간으로서의 상징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결과 법인 청산을 자초한 바 있다. 대전시의 엑스포 재창조계획은 엑스포 개최 도시의 역사성, 과학도시 대전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선 이를 뒷받침할 만한 수익창출 구조가 불가피하다는 공감대를 담고 있다.

대전시-롯데의 상호 업무협약(MOU)에 따른 세부 사업계획 마련 과정에 시민의견 반영을 포함, 주도면밀하게 따져야 할 게 한둘 아니다. 그 결과에 따라 공원 주변 인프라는 물론 오월드, 아쿠아월드, 유니온스퀘어 등과의 네트워크 효과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가 있다. 국토공간적인 차원에서도 파급력이 막대하다. 현재 자연녹지로 돼 있는 공원 부지를 상업용도로 전환한 후 20년에서 40년까지 유상으로 장기 임대하는 방식인 데다 사업 내용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 특혜시비에 휩싸일 소지가 다분하다.

그중에서도 테마파크 안에 대규모 쇼핑시설이 들어설 경우 지역 상권이 초토화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히 불식되지 않았다. 중소영세상인들의 반발이 불을 보듯 뻔하다. 문화수익시설의 성격에 특히 주목하는 이유다. 문화·아트센터, 갤러리, 공연장, 영화관 등이 들어서고 세계음식테마거리, 교육·체험형 놀이시설, 서점, 패션관도 운영한다. 이를 백화점 형태로 변칙 운영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지난 1월 "대형 쇼핑시설은 들어올 수 없다"는 대전시의 입장은 끝까지 지켜져야 마땅하다.

복합테마파크의 지역밀착 경영방식에 대해서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롯데 측은 지역주민 우선 채용, 지역우수상품 발굴 방침을 일단 밝혔다고 한다. 기업의 본사 소재지(현지 법인화)도 대전에 두는 게 맞다. 그건 지역자금의 역외유출만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는다. 모름지기 지역과 상생하는 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한다는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