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지방의회가 후반기 원 구성을 놓고 심각한 내홍을 겪고 있다. 마치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는 감투싸움은 딱히 어느 곳이라고 할 것도 없이 대부분 지역에서 일어난다. 특히 의장·부의장단 상임위원장 자리에 대한 야합, 뒷거래 의혹은 물론이고 막말·폭력 등 구태가 여전하다. 원 구성이 늦어질수록 피해는 결국 지역주민에게 돌아간다. 의회 무용론이 대두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일은 안하고 싸움만 일삼는 이런 행태 때문이다.

대전시의회는 어제 가까스로 의장단 구성을 끝냈지만 자리 밀약설 등 각종 의혹과 잡음으로 한동안 어수선했다. 유성구의회는 부의장 선거에서 낙선한 의원이 경선결과에 불복, 의장실을 찾아가 기물을 파손하는 등 폭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청주시의회 또한 다수당인 민주당이 '합의투표'라는 관행을 깨고 부의장 선거결과를 뒤집는 이변을 연출, 새누리당과 마찰을 빚고 있다.

우리는 지난 2006년 5·31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된 5대 대전시의회가 9개월간 식물의회로 전락했던 일을 기억하고 있다. 정당 계파 간 힘겨루기와 부정투표 의혹, 다수당 의원 간 짬짜미를 통한 자리 독식이 원인이었다. 이는 충청권 지방의회 중 최장기간 파행이라는 불명예 기록이었다. 때문에 지방의회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의원들의 의정능력 배양과 함께 각종 제도적 보완이 뒤따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방의회가 지역발전에 능률적으로 기능하면서 위상을 강화하려면 물밑접촉과 개별적인 짝짓기를 뛰어넘어야 한다. 그동안 의장단은 지역위원장(해당지역 국회의원)이 낙점하거나 특정정당의 조율에 의해 결정된 게 사실이다. 의회에서의 선출절차는 그야말로 요식행위였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미 전국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절반 이상이 교황선출식 대신 후보등록제, 사전 정견발표와 토론회 등으로 현 제도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있다.

의회는 주민의 기대에 부응, 지역발전과 각종 현안해결에 지혜를 모아 나가는 창구다. 자신의 이익이나 위상을 위해 이합집산을 하는 지방의원들은 지역의 갈등을 봉합하고 민의를 통합해 나갈 수 없다. 지방의회 의장단은 감투가 아니다. 지방의회는 지역민의 총의를 헤아리는 의정을 펴라고 만든 곳이다. 2년마다 되풀이되는 의장단 선출이 이렇게 이전투구로 물든다면 지방의회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 수밖에 없다. 명심할 일이다.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