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은 청주의 지도를 바꾸게 하는 대역사(大役事)이자 민간 투자유치의 정수다. 326만㎡에 달하는 광활한 대지 위에 1조 3000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사업비를 투입, 청주의 미래를 그려 넣고 있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2015년까지 중부권 최대의 최첨단 산업단지로 꾸며질 이 곳은 산업·연구시설뿐만 아니라 주거 및 상업·근린생활시설과 문화시설, 교육시설이 함께 갖춰지는 첨단복합산업단지로 개발되고 있다. 하나의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 있는 셈이다. 이 사업이 완성되면 연간 소득 유발효과 3000억 원, 고용창출효과가 1만 2000여 명에 이른다. 간접적인 생산유발효과는 수조 원대에 달할 뿐만 아니라 행정중심복합도시, 오송역 등 중부권 주변 여건 변화에 따른 선도적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제까지 산업단지하면 회색빛 공장이 들어서서 검은 연기를 뿜어대는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게 사실이다. 하지만 청주테크노폴리스는 이러한 기존의 산업단지 개념과는 딴판이다.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져 함께 숨쉬고 그 속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완벽한 시설을 갖추게 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 곳은 인접한 세계적 기업 하이닉스반도체가 자리잡고 있어 그 협력업체들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 이미 수많은 하이닉스 협력업체들이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의 완공을 기다리고 있다. 또한 IT, BT 등 공해 없는 첨단·청정업종들만 선별해 유치시킬 예정으로 있어 무공해 복합산업단지가 될 것이 분명하다.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은 규모나 사업비에서 보듯 전례가 없는 청주시의 최대사업이다.
특히 민·관 합작사업이기 때문에 민간의 자본 및 노하우를 최대한 도입할 수 있고 공익성 또한 담보되고 있다. 국가나 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기존 산업단지 조성의 경우와는 달리 산업단지 트렌드 변화에 맞춰 민관이 손을 맞잡은 것이다. 또한 기존의 산업단지에는 단순 산업시설이나 지원시설만 들어섰으나 이곳은 앞서 언급했듯이 다기능의 복합용도개발을 추구하고 있다.
![]() |
||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의 기본 방향은 △자족형 복합도시 △친환경 생태도시 △교육과 기회의 도시 △활력있는 도시 건설 등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자족형 복합도시 건설을 위해 주거와 산업이 혼합된 교육·의료·상업시설 등 다양한 도시지원시설을 배치하고 지역발전의 거점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특성화도시로의 브랜드를 창출할 계획이다.
친환경 생태도시를 만들기 위해 주변의 양호한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저탄소를 지향하는 ‘그린+단지’로 조성할 예정이며 생태환경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보전함으로써 개발과 보전이 공존하는 그린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시민의 여가활동 지원을 위한 친수공간 마련도 계획하고 있다.
또 교육과 기회의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교육인프라를 완벽히 구축, 단지 내 교육기회를 극대화하고 산업과 도시지원시설 배치 등 복합단지 조성을 통해 취업기회 확대를 도모할 예정이다.
활력있는 도시 건설을 위해서는 주거기능과 산업기능의 공간적 분리를 극복하는 커뮤니티벨트를 형성하고 기능 및 용도 간 단절 해소를 위해 위계를 부여한다는 복안이다.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의 토지이용계획은 △산업용지 123만 5334㎡(생산시설 117만 4520㎡, 연구시설 6만 814㎡) △주거용지 87만 2445㎡(단독 9만 1369㎡, 공동주택 78만 1076㎡) △상업용지 2만 8917㎡ △유통시설용지가 6만 9314㎡ 규모다. 또 101만 5862㎡규모의 공공시설용지에는 교육시설(6만 5944㎡), 의료시설(1만 3912㎡), 공공청사(1만 4904㎡), 종교시설(9241㎡) 등이 들어서며 11만 1511㎡의 공원과 21만 8656㎡의 녹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이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청주테크노폴리스자산관리는 최고의 명품 복합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어메니티(쾌적함, 즐거움, 아름다움, 편리함, 활기 등 긍정적 감흥을 주는 환경의 총체) 제고 전략까지 세우고 있다.
어메니티 제고 전략에는 도시민의 쾌적하고 건강한 삶의 터전 구현과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녹지축 설정 및 녹지 네트워크 구축, 수계축 설정 및 수변 네트워크 구축 등이 담겨 있다. 또 도시·건축 디자인 도입과 기존 지형 및 물을 활용한 테마공원, 기상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감성을 자극해 정서적 안정을 유도하는 음환경(Soundscape) 공원 조성 등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선진기법 도입도 전략에 포함되어 있다.
㈜청주테크노폴리스자산관리 고위 관계자는 “세계적 경제난국 등 어려운 상황도 있지만 이 사업을 어떻게든 조기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혼신을 기울이고 있다”며 “더 나은 이주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청주테크노폴리스엔 기존의 굴뚝산업을 배제하고 IT, BT 등 첨단업종을 유치함으로써 다가올 탄소배출 억제에 대한 대비와 함께 태양·물을 에너지로 활용하는 등 미래지향적인 친환경 산업단지 모델을 목표로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교육의 도시 청주를 배후로 하는 인프라와 산·학·연 클러스트를 통한 시너지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여건을 두루 갖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주민 동의를 통해 지장물조사, 감정평가 등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올 8~9월경에는 보상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실시계획 수립, 각종 영향평가, 설계 등을 조속히 마무리짓고 연내 기공식을 한 후 본격 공사에 들어갈 계획으로 있다”고 말했다.
지식혁명이라는 금속활자를 탄생시킨 청주! 이곳에서 청주테크노폴리스를 중심으로 또 한 번 첨단산업의 디지털 혁명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