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대선 주자들의 공식 출마선언이 이어지면서 정치권은 대선 레이스에 본격 돌입하고 있다.

특히 대선 주자들은 ‘싱크탱크’ 역할을 맡은 각종 포럼이나 연구소 등을 마련하고 대선 공약을 만들고 가다듬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여당의 한 대선 주자 캠프 관계자는 “대선 공약 TF를 만들어 운영 중이다. 민생, 복지 등 분야별로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참여해 연구하고 있다”라며 “7월 중에는 공약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양한 여론수렴을 통해 각 지역별 공약도 개발하는 중이다. 지역 국회의원 선거공약이나 시·도의 현안사업 등을 참고하고 있다”라며 “후보는 지역별로 만들어진 공약을 들고 전국을 돌며 표심잡기에 나설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후보 시절 대선 캠프에서 활동했던 대전의 한 인사는 “대선 주자의 공약은 국회의원이나 정당의 공약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주자가 대선에서 승리하는 순간 공약은 곧 정부의 핵심 정책으로 결정된다”며 “노무현 대통령의 세종시 공약이나 이명박 대통령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등 많은 공약이 실제로 현실화됐다”라고 강조했다.

이 인사는 “그만큼 대선 공약은 중요하다”며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는 일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지역 현안 대선 공약 선점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강하게 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전·충남의 최대 현안이지만 해소 방법을 찾지 못하는 사안의 경우 대선 공약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충남도청이전부지 활용이나 세종시 완성을 넘어선 플러스 알파(+ α) 방안, 실질적인 서해안 유류 피해 지원 방안 등은 대선 주자들의 공약에 반드시 반영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이런 배경에서 나온다.

대전시와 충남도에서도 대선 공약 채택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시와 도는 각각 25개 주요 현안과 7개 분야 99개 시책을 발굴, 여야 정치권과 후보들에게 전달하는 동시에 이러한 공약이 대선 공약으로 채택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지역 정가에선 “국회의원과 대전시, 충남도가 각각 대선 주자 캠프에 문을 두드리는 것은 비효율적인 일”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