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로부터 촉발된 국내 기업의 구조조정은 IMF 외환위기 때와 달리 선제적·전략적 성격이 짙고 대규모 인력 감축은 억제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12일 대전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제113차 대전경제포럼 세미나’에서 삼성경제연구소 김득갑 연구전문위원은 “1997년 IMF 외환위기 여파로 인한 기업 구조조정은 일률적이고 사후적인 성격을 띠었으나 최근 경기침체에 따른 구조조정은 선제적인 성격을 띠고 전개되고 있다”며 “기업 간 경쟁력 격차가 과거보다 확대돼 일률적 구조조정이 아닌 개별 특성에 맞는 전략적 구조조정이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외환위기 당시에는 대다수 기업의 재무구조를 뜯어 고치는 것이 급선무였으나 현재는 사업환경 악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대세”라며 “부채 비율 300% 이상 기업의 경우 1997년에는 42.3%에 달했지만 지난해 9월 말 현재를 기준으로 8.0%에 불과하다. 하지만 사업 채산성이 악화돼 건설과 조선을 시작으로 자동차, 석유화학, IT 등 대다수 업종으로 구조조정이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은 “외환위기 때와 같은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임금 삭감 및 일자리 나누기 방식이 활성화될 것”이라며 “세계경체가 위축돼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대량 해고로 내수마저 침체되면 불황의 골이 더욱 깊어지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IBM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은 녹색성장이 세계적 화두로 대두됨에 따라 이를 활용하기 위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도 녹색경제 시대 도래에 부응, ‘그린 버블(Green Bubble)’을 새로운 성장기회로 삼아 경기회복 국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