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최대 현안사업인 청주·청원 행정구역 자율통합은 기득권층의 소모적 논쟁이 반복되면서 이미 세 차례나 실패의 쓴맛을 봤다. 하지만 4번째 도전은 이시종 충북도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의 통합 합의를 시작으로 양 지역을 대표하는 민간기구가 통합 추진의 밑거름이 될 상생발전안을 마련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통합 분위기가 한껏 고조되고 있다. 이에 본보는 통합이 성사됐을 때 기대되는 각 분야별 청사진을 통해 통합의 당위성을 제시해본다. /편집자

청주시가 핵을 이루고 청원군이 주변을 감싸는 도넛 형태의 지리적 특성 때문에 양 시·군은 도시계획상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 상당하다.

현재 청주시의 도시계획 및 관리 수준은 50만 인구도시와 비교할 때 현저히 낙후됐거나 '엉망'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청주시 도시계획 행정의 미숙도 있겠지만 청주·청원의 공동전략을 실현에 옮길 수 없는 한계에 상당부분 기인한다. 청주시가 지난 2007년 발표한 '2025년 청주도시기본계획안'에서도 도시의 특성과 여건 등을 고려했을 때 상당부분 청주·청원의 공동전략 개발이 불가피하다며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청원군 또한 환상형 행정구역의 형태 때문에 자체적인 도심구조를 가지기 어려워 산발적인 중소도시로 분화되고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실례로 청원군청, 청원교육청 등 읍·면사무소를 제외한 95%의 청원군 기관 및 각종 단체 사무실이 청주에 있는 것을 봐도 청원군의 지리적 한계를 짐작케 한다.

도시화·산업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도시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광역도시계획의 수립 및 추진은 필연적으로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청주권 중·장기 발전 도시계획 및 집행에 있어서 양 시·군의 통합은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되는 것이다. 이 점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에 양 시·군은 통합추진에 앞서 지난 2월 청주·청원광역행정협의회를 통해 청주·청원 도시기본계획 공동수립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청주시는 연내 총 9억 원(청주 6억 원, 청원 3억 원)의 예산을 들여 용역에 착수해 내년 12월까지 완료되면 청주·청원 전체 행정구역에 대한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방향과 시·군이 공간적으로 발전해야 할 구조적 틀을 제시할 계획이다.

청주·청원통합이 이뤄지면 전국의 인구 50만 이상 도시와 비교해 봐도 면적기준 2위, 재정 4위, 인구 6위의 거대도시가 탄생돼 수도권 이남 제1의 도시가 된다. 따라서 통합과 함께 그동안 계획에만 머물러 있던 광역도시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 우선 대전, 세종시, 천안을 포괄하는 중부권 광역네트워크도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기존 청원군 지역의 취약점이라 할 수 있는 동서지역 간 불균형이나 난개발 문제 등 많은 문제점들도 광역도시계획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다.

또한 3차 우회도로에 이어 군 지역을 구석구석까지 고속으로 연결하는 4차 우회도로와 연계 광역 교통망의 대폭 확충은 농촌과 도시지역, 동부지역과 북서부지역이 균형적 개발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복지, 문화, 체육시설 등 각종 기반시설의 균형적 배치도 이뤄질 전망이다.

한 도시계획전문가는 "일정규모 이상의 도시에 있어서 광역도시계획은 필수조건"이라고 강조한 뒤 "청주·청원통합을 통해 그동안 계획에만 머물렀던 광역도시계획이 현실화되면 양 지역의 지리적 한계를 벗어나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