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은행의 가계대출 부실채권 비율이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월 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 및 감독 방향’에 따르면 3월 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51%로 지난해 말(1.36%) 대비 0.15%p 올랐다.
부실채권 규모는 20조 9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18조 8000억 원)보다 2조 1000억 원 늘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부실이 17조 5000억 원(83.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계여신(3조 2000억 원·15.3%), 신용카드 채권(3000억 원·1.3%)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가계대출의 부실채권비율은 지난해 말 0.6%에서 0.71%로 높아졌다. 이는 2007년 3월(0.71%) 이후 최고치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64%로 2006년 9월(0.66%) 수준에 근접했다.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1.9%로 지난해 말(1.73%)보다 0.17%p 상승했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 부실채권비율은 2.35%로 0.18%p,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비율은 9.09%로 0.95%p 각각 늘어났다.
올해 1분기 중 신규부실 발생규모는 5조 4000억 원으로 지난해 4분기(6조 6000억 원) 대비 1조 2000억 원 줄었다.
신규부실은 기업여신(4조 원)이 74.1%를 차지했다.
가계여신 및 신용카드 신규부실은 각각 1조 2000억 원, 2000억 원 수준이다.
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실적은 3조 3000억 원으로 전분기(10조 8000억 원)보다 줄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