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한 움직임이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충북과 대전, 충남 등 3개 시·도의 공조 속에 이뤄지고 있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대전과 충남에 근간을 둔 하나은행 충청권사업본부의 전환을 통한 방식으로 무게가 실리면서 자칫 충북은 실익없는 ‘들러리’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방식의 여하를 떠나 지방은행이 설립된다고 하더라도 시중 은행들 사이에서 얼마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미지수다.

◆3개 시·도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공조…충북은 '들러리'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4·11 총선 전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한 자유선진당 후보들의 공약으로 잠시 이슈가 된 바 있었지만, 최근 충북을 비롯한 대전, 충남 등 3개 시·도에서 직접 공조해 나갈 것을 밝히면서 지방은행 설립 문제가 다시한번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충북도에 따르면 최근 지역 금융권과 유관기관, 소비자단체 등을 대상으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관련 전문가 초청 간담회'를 개최하고, 지방은행의 설립 필요성에는 인식을 같이 했다.

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하나은행이 지주회사가 된 하나은행 충청사업본부의 지방은행 전환으로는 충북 입장에서 얻을수 있는 실익이 없다는 점에서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다. 또 시중은행의 대형화 추세 속에 지방은행이 설사 설립 된다 해도 얼마나 경쟁력을 갖출수 있을지 현실적으로 의문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점도 제기됐다.충북도는 충북과 대전·충남에서 논의되는 지방은행 설립 추진 상황설명을 통해 현재 대전과 충남을 중심으로 대형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형태로 하나은행 충청사업본부를 충청권 지방은행으로 전환하는 것이 1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순수 지역자본으로 신규 지방은행 설립이 2안으로 논의됐다고 밝혔다.

◆현존 지방은행도 '골골'…취지는 좋지만 '글쎄'

앞서 충북도가 밝힌 1안과 2안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큰 틀에서 지방은행 설립에 대한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형성된 부분이다.

그러나 어떤 식의 대안으로건 지방은행 설립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시중 금융권들과의 경쟁에서 지방은행이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겠냐는 데는 전망이 밝지 않다. 사실상 거대 시중은행들도 어려운 경기로 인한 점포슬림화와 조직축소 개편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선 상황에서 신규 지방은행이 입지를 다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방은행들은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심해진 수도권 집중도를 해소하고, 은행 대형화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지방은행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들며 입지 구축에 나섰다. 현재는 외환위기 이후 충북과 강원, 충청, 경기은행이 시중은행에 합병되며 사라지고, 남아있는 지방은행은 모두 6곳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부산과 대구, 전북을 제외하고, 나머지 3곳 모두 우리금융과 신한금융 등 대형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형태로 남아 사실상 간판만 지방은행이다. 광주은행과 경남은행은 우리금융지주로 편입됐고, 제주은행은 신한금융지주에 인수됐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한정된 지역에 자금을 배분해야 하는 특성 상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에는 공감을 한다"며 "하지만 현재 논의 중인 하나은행 충청사업본부의 전환을 통한 지방은행 설립 추진방식은 충북에는 전혀 실익이 없을 뿐 아니라 되레 순수 자본 역외유출을 더욱 부추길 수 도 있다"고 말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