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구상되고 있는 금강역사문화관 건립 문제를 놓고 서천군과 부여군이 미묘한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서천군은 ‘서천이 먼저 충남도에 제안한 구상을 부여군이 도용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부여군은 ‘입지 타당성을 따져봐야 한다’며 최근 도에 건의서를 제출하면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금강역사문화관이 담고 있는 취지가 금강 살리기 사업과 제대로 맞아 떨어지는 만큼 충남도의 금강 살리기 종합계획안에 반영만 되면 국비지원이 100%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미묘한 신경전은 부여군이 이달 초 한 일간지를 통해 금강역사문화관 건립 계획을 부여군 금강 살리기 사업에 포함시키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부여는 백제문화의 중심지로 특히 백마강은 해양무역의 중심으로 역할을 하면서 일본 아스카 문화를 탄생시킨 의미를 갖고 있는 만큼 백제역사재현단지 인근에 금강역사문화관을 건립하면 2010년 대백제전과도 연계돼 관광자원으로서 활용도가 높다’는 게 부여군의 입장이다.
‘부여의 상징성과 관광자원으로서의 효용성을 감안하면 금강역사문화관은 금강이 관통하는 부여에 입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서천군은 그러나 “한마디로 특허를 도용당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서천군은 ‘금강 단절의 역사는 금강하구둑이 들어서면서 시작됐다. 금강하구둑이 건설되면서 금강의 역사를 간직하자는 의미에서 금강역사문화관 건립 구상이 제기됐고 이번 금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서천이 지난달 중순 가장 먼저 충남도에 계획안을 제출했다. 금강 살리기 사업 관련 시·군 관계자가 모두 모인 자리에서도 충남도가 서천에 긍정적인 검토의견을 내놓은 사안인 만큼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금강 살리기 사업의 핵심은 기수역(바다와 강이 만나는 곳) 복원에 있는 만큼 금강의 단절과 흐름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아낼 곳은 서천이 최적지’라는 설명이다.
두 지자체의 신경전에 충남도 역시 난처한 입장에 놓였다.
사업 확정을 뒤로 미룰 경우 전북이 어부지리로 사업을 가져갈 수 있는 개연성이 충분한 만큼 충남도는 서둘러 사업 계획을 선점해야 하지만 두 지자체의 신경전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방법론을 놓고 고민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서천군은 ‘서천이 먼저 충남도에 제안한 구상을 부여군이 도용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부여군은 ‘입지 타당성을 따져봐야 한다’며 최근 도에 건의서를 제출하면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금강역사문화관이 담고 있는 취지가 금강 살리기 사업과 제대로 맞아 떨어지는 만큼 충남도의 금강 살리기 종합계획안에 반영만 되면 국비지원이 100%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미묘한 신경전은 부여군이 이달 초 한 일간지를 통해 금강역사문화관 건립 계획을 부여군 금강 살리기 사업에 포함시키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부여는 백제문화의 중심지로 특히 백마강은 해양무역의 중심으로 역할을 하면서 일본 아스카 문화를 탄생시킨 의미를 갖고 있는 만큼 백제역사재현단지 인근에 금강역사문화관을 건립하면 2010년 대백제전과도 연계돼 관광자원으로서 활용도가 높다’는 게 부여군의 입장이다.
‘부여의 상징성과 관광자원으로서의 효용성을 감안하면 금강역사문화관은 금강이 관통하는 부여에 입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서천군은 그러나 “한마디로 특허를 도용당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서천군은 ‘금강 단절의 역사는 금강하구둑이 들어서면서 시작됐다. 금강하구둑이 건설되면서 금강의 역사를 간직하자는 의미에서 금강역사문화관 건립 구상이 제기됐고 이번 금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서천이 지난달 중순 가장 먼저 충남도에 계획안을 제출했다. 금강 살리기 사업 관련 시·군 관계자가 모두 모인 자리에서도 충남도가 서천에 긍정적인 검토의견을 내놓은 사안인 만큼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금강 살리기 사업의 핵심은 기수역(바다와 강이 만나는 곳) 복원에 있는 만큼 금강의 단절과 흐름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아낼 곳은 서천이 최적지’라는 설명이다.
두 지자체의 신경전에 충남도 역시 난처한 입장에 놓였다.
사업 확정을 뒤로 미룰 경우 전북이 어부지리로 사업을 가져갈 수 있는 개연성이 충분한 만큼 충남도는 서둘러 사업 계획을 선점해야 하지만 두 지자체의 신경전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방법론을 놓고 고민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