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전·충남지역에서 산불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산림 당국과 지자체의 현실적인 산불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는 각종 대책을 쏟아내며 산불 제로화를 외치고 있지만, 잇따르는 산불 대책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최근 10년간 대전·충남지역의 산불은 3~5월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은 보다 현실적인 산불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런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17일 오후 3시 22분경 충남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국립공원 내 문수암 인근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이날 오후 5시 현재 소방당국과 산림청, 공주시 등은 헬기 9대와 가용인력 300여 명을 투입해 방화선을 구축하며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불길이 바람을 타며 넓게 형성되면서 헬기 등의 접근이 어려워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 지난 14일 오후 9시 55분경에도 대전 유성구 갑동 국립대전현충원 인근 갑하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이날 산불은 무려 발생 25시간여 만인 15일 오후 11시 20분경 가까스로 진화됐다.

불이 나자 소방당국은 600여 명의 진화인력과 차량 30여 대, 진압 장비 400여 대를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였지만, 건조한 날씨와 험한 지형 등으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밖에 지난달 27일 오후 4시 55분경 충남 당진시 송산면 명산리에서도 산불이 발생해 현장에서 불을 끄던 A(79) 씨가 전신에 화상을 입고 숨졌다. 이처럼 최근 대전·충남지역에서 산불이 잇따르고 있지만,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의 대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문제는 산림 당국과 지자체가 각종 산불 대책을 쏟아내고도 정작 결과는 좋지 못하다는 데 있다.

산림청은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를 산불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 동안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하고 불법·무단소각자 집중단속, 주말 기동단속, 산불감시인력 및 무인감시카메라 확대운영, 산불진화 헬기를 통한 공중 산불감시 강화 등 산불방지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간 상태다.

대전시도 이 기간을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실·국별로 책임 분담 지역을 지정, 매주 토·일요일 전 공무원을 관내 취약 지역 77곳에 배치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충남도 역시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공중감시를 위해 헬기를 투입하는 등 산불예방 활동을 펴고 있지만, 지역에서는 산불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산림 당국 관계자는 “요즘같이 건조한 날씨에는 아무리 각종 대책을 동원해도 산불 예방에는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헬기 감시와 첨단장비를 동원해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002년부터 올해 4월 1일까지 10년간 대전·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311건 중 무려 239건이 3~5월에 집중됐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