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산후조리원이 최근 고가 비용 등으로 눈총을 받고 있는 가운데 정부나 지자체가 각 시설에 대한 비용 정보공개를 꺼리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특히 정부가 출산 장려를 위한 갖가지 정책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도 임산부들의 편의를 위한 가격 공개에는 사업장의 개인정보 유출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어 ‘역주행 행정’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11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현재 대전에 위치한 산후조리원은 모두 15곳(서구 7, 유성구 5, 동구 1, 중구 1, 대덕구 1)이며, 충남은 8곳(천안 4, 아산 2, 당진 1, 공주 1)으로, 가격은 일반실 기준 115만~236만 원 정도로 파악된다.

이는 임산부들이 산후 2주간 머물면서 하루 평균 14만여 원을 지급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특실의 경우 300만 원을 상회해 고급 호텔과 맞먹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임산부와 가족들 사이에서는 수백만 원에 달하는 산후조리원 비용에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반면 각 산후조리원 마다 시설 인테리어, 서비스 환경 등을 이유로 100여만 원에 달하는 비용 격차가 나고 있지만 전체적인 이용료 안내 서비스는 마련돼 있지 않아 산모들은 해당 시설에 일일이 문의해야 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부나 지자체가 가격 정보를 고시토록 함으로써 자신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가격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임산부 김 모(31·동구 용운동) 씨는 “아이를 생각하면 좋은 시설을 이용하고 싶은 게 사실이지만 경제적 형편이 어려워 가장 저렴한 곳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며 “우리 같은 처지의 임산부를 위해서라도 인터넷 정보 공개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나 대전시는 조사 자료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설의 동의가 없이는 공개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자체적으로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위반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고, 소비자 가격이 시설의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책정돼 있어 운영자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한 임산부모임 카페 운영자는 “지금도 대부분의 임산부들이 마땅한 대안이 없어 고비용에도 ‘울며 겨자 먹기’로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며 “가격공개가 편의 제공은 물론 시설 간 담합 방지와 경쟁을 통한 가격인하를 위해서라도 꼭 공개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