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공천 경쟁의 이면에 여야 내부에선 또 다른 ‘빅 이벤트’가 준비되고 있다. 여야는 국회의원 전체 의석(300석)수의 18%에 이르는 54석의 비례대표 의원 선출을 위한 작업에 본격 돌입했다.

새누리당은 8일부터 3일간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민주통합당은 비례대표 선정 절차를 앞당기면 경쟁력 있는 인사들이 지역구보다 비례대표에 몰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지역구 공천이 끝난 이후에 비례대표 논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자유선진당도 7일 공고를 한 후 오는 13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비례대표는 총선 투표 때 지역구 후보 투표와 함께 진행되는 정당 투표의 결과에 따라 의석수가 달라진다. 1인2표제 도입 원년인 17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 23석, 한나라당 21석, 새천년민주당 4석을 차지했다. 당시 민주노동당이 8석을 얻으며 깜짝 데뷔에 성공해 눈길을 끌었다.

18대 총선에선 통합민주당 15석, 한나라당 22석, 자유선진당 4석, 민주노동당 3석, 창조한국당 2석, 친박연대 8석 등을 얻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이번 4·11 총선을 통해 각각 20석 안팎의 비례대표 의석수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총선을 통해 어느 정당이 몇 석을 확보할지도 관심이지만, 각 당의 비례대표 선출 기준과 후보군 면면 역시 유권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낸다.

지역구도를 완화하고 소외계층 등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국회에 반영하기 위한 차원에서 비례대표제를 만들었지만, 지역 안배와 계파정치, 정당 체제 등의 그늘에 가려 제 구실을 못해 왔기 때문이다. 당내 계파별 나눠먹기 공천이라는 비난과 함께 4년 동안 당의 ‘거수기’ 역할만 한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받아왔다.

이런 가운데 자유선진당 비례대표인 박선영 의원의 활동이 최근 주목되고 있다. 현역 의원들은 자신의 선거구로 내려갔고, 각 정당도 총선에 몰입하면서 임기가 4개월여 남았지만 사실상 끝난 분위기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박 의원은 지난달 21일부터 중국의 탈북자 강제 북송에 항의하며 중국대사관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선거운동에 빠져있을 때 박 의원은 탈북동포를 위해 묵묵히 ‘국회의원’의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박 의원의 행동은 사회를 변화시켰다. 탈북동포 강제 북송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대통령과 정부를 움직이게 했다. 또 국제사회의 동참도 이끌어내고 있다. 그동안 선거전에만 몰입했던 새누리당과 민주당도 그제야 박 의원의 행동에 은근슬쩍 동참하는 분위기다.

선진당 관계자는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패권싸움으로 국민과 북한 동포에 대해 소홀히 할 때 선진당만이 정당 본연의 책무를 다하고 있다”며 “박선영 의원이 비례대표 국회의원의 의미를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가에선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비례대표 선출에서 어떤 인물을 선보일지 미지수이지만, 박 의원의 행동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17대 총선 열린우리당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민주노동당  
23 21 4 8
 
18대 총선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친박연대
15 22 4 3 2 8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