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정치권 안팎으로 미묘한 기류가 형성되면서 지형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 내 친이(친 이명박)와 친박(친 박근혜) 진영의 계파 간 갈등이 재연될 징후가 감지되고 있고, 민주당도 대선 이후 일선에서 물러났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의 등장이 거론되면서 신구 주류 간 신경전이 불거지고 있다.
여권이 '경제살리기 법안'의 신속한 처리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배수진을 치면서 2월 임시국회에서 정면충돌이 예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4월 재·보선까지 겹치면서 정치판의 에너지가 어디로 분출될지 예측하기 힘든 형국이다.
특히 이 같은 중앙 정치무대의 변화 움직임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지역 정치권에 예민한 반응을 불러 일으킬 수 있어 정치권을 향한 지역정가의 촉각도 집중되고 있다.
무엇보다 여권 내 정치지형의 변화가 권력의 질서 재편으로 진행될 공산이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집권 1년이 다 되도록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진영의 화학적 결합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데다 최근 들어 정서적 괴리감이 오히려 더 확연해지는 분위기에 기인한다.
여권의 단합을 과시하려던 지난 2일 청와대 중진 오찬회동이 오히려 한나라당의 현실을 드러내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친박계는 계파모임을 공식화하며 당내 비주류의 목소리를 내겠다는 입장인 반면, 친이계도 정면비판에 나서는 등 연일 계파 간 갈등이 첨예화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친이계와 친박계의 갈등 기류를 차단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지만, 이재오 전 의원의 귀국을 비롯한 뇌관이 많아 여권 내 역학 변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주당의 경우 여전히 '대선후보'로 거론되는 정동영 전 통일장관의 4·29 재선거 출마 문제가 껄끄러운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한때 당의 대표 주자이자 대선 후보였던 정 전 장관이 등장할 경우 당 내 힘의 구조가 재편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우선 신주류를 이끌고 있는 정세균 대표의 위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 전 장관의 복귀가 그동안 수면 밑으로 가라앉아 있던 신·구 간, 계파 간 힘겨루기의 기폭제로 작용될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유선진당은 변화의 기색이 영력한 정치권의 분위기에 고민스럽다는 입장이다.
여전히 창조한국당과의 불안한 동거와 충청권에 집중된 의원 분포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앞으로 변화될 정치구도 속에서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한 묘책을 찾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정가의 한 관계자는 "변화를 추구하는 정치권에서 여야 내부의 역학구도 재편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정치권의 변화를 이끌 시기와 요소들이 충분한 만큼 이미 변화는 시작됐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한나라당 내 친이(친 이명박)와 친박(친 박근혜) 진영의 계파 간 갈등이 재연될 징후가 감지되고 있고, 민주당도 대선 이후 일선에서 물러났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의 등장이 거론되면서 신구 주류 간 신경전이 불거지고 있다.
여권이 '경제살리기 법안'의 신속한 처리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배수진을 치면서 2월 임시국회에서 정면충돌이 예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4월 재·보선까지 겹치면서 정치판의 에너지가 어디로 분출될지 예측하기 힘든 형국이다.
특히 이 같은 중앙 정치무대의 변화 움직임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지역 정치권에 예민한 반응을 불러 일으킬 수 있어 정치권을 향한 지역정가의 촉각도 집중되고 있다.
무엇보다 여권 내 정치지형의 변화가 권력의 질서 재편으로 진행될 공산이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집권 1년이 다 되도록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진영의 화학적 결합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데다 최근 들어 정서적 괴리감이 오히려 더 확연해지는 분위기에 기인한다.
여권의 단합을 과시하려던 지난 2일 청와대 중진 오찬회동이 오히려 한나라당의 현실을 드러내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친박계는 계파모임을 공식화하며 당내 비주류의 목소리를 내겠다는 입장인 반면, 친이계도 정면비판에 나서는 등 연일 계파 간 갈등이 첨예화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친이계와 친박계의 갈등 기류를 차단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지만, 이재오 전 의원의 귀국을 비롯한 뇌관이 많아 여권 내 역학 변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주당의 경우 여전히 '대선후보'로 거론되는 정동영 전 통일장관의 4·29 재선거 출마 문제가 껄끄러운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한때 당의 대표 주자이자 대선 후보였던 정 전 장관이 등장할 경우 당 내 힘의 구조가 재편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우선 신주류를 이끌고 있는 정세균 대표의 위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 전 장관의 복귀가 그동안 수면 밑으로 가라앉아 있던 신·구 간, 계파 간 힘겨루기의 기폭제로 작용될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유선진당은 변화의 기색이 영력한 정치권의 분위기에 고민스럽다는 입장이다.
여전히 창조한국당과의 불안한 동거와 충청권에 집중된 의원 분포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앞으로 변화될 정치구도 속에서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한 묘책을 찾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정가의 한 관계자는 "변화를 추구하는 정치권에서 여야 내부의 역학구도 재편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정치권의 변화를 이끌 시기와 요소들이 충분한 만큼 이미 변화는 시작됐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