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금강하구의 수질개선 연구용역을 실시한 결과 하굿둑의 ‘해수유통’은 부정적이라는 견해를 밝힘에 따라 충남도의 금강하구 생태계 복원 계획에 비상이 걸렸다.

해수유통은 금강하굿둑으로 인해 발생한 생태계 교란과 토사 문제 해결 및 장항항 기능 복원 등을 위해 충남이 강력히 촉구한 대안이다.

해수유통에 대해 정부가 부정적 입장을 보인 것과 관련 도는 ‘해수유통이 가능하지 않은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용역’이라는 반응으로, 향후 연구 결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대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2일 충남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가 지난 2010년부터 2년간 ‘금강하구역 생태계조사 및 관리체제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한 결과 해수유통은 수질개선에 부정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하굿둑 배수갑문을 전면 개방할 경우 바닷물이 금강 상류 24㎞까지 침투해 금강 하구 일대의 농지에 염분 피해를 일으키고 농·공업 용수 확보가 불가능해진다.

반면 도는 이번 연구 결과를 놓고 정부가 애초부터 해수유통을 막기 위해 추진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보이며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해수유통을 위해 배수갑문의 부분 개방을 하면 바닷물이 상류 12㎞밖에 올라오지 않아 전북지역의 농·공업 용수 확보가 가능할 것이란 도의 분석을 배제한 채 배수갑문 전면 개방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허재영 금강비전기획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의 결론 부분을 본 적이 있다”며 “그러나 배수갑문 전면개방을 해수유통이 불가하다는 전제로는 내세워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허 위원장은 “수문 전면개방의 전제도 있지만, 우리는 부분개방을 통한 해수유통을 주장했다”며 “전면개방 시 바닷물이 상류 24㎞까지 올라오는 반면 부분유통 시 12㎞에 머문다”고 설명했다.

부분적 해수유통을 할 경우 바닷물 유입 구간이 짧아 전북이 우려하는 용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허 위원장은 “하굿둑으로부터 20여㎞ 떨어진 강경주변에서 용수를 확보하면 크게 문제될 것 없다”며 “결국 정부의 연구는 해수유통이 가능한 방법을 찾는 것 보다 가능하지 않는 방법을 찾기 위해 실시된 것이란 인상을 지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도는 2월 중순 공식 발표되는 정부의 연구결과를 확인한 후 이를 토대로 전북과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련 기관이 함께 검토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