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을 80여 일 앞두고 일명 ‘떴다방’ 식의 선거 기획사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들은 예비후보자들에게 접근해 선거법을 넘나드는 위험한 선거 홍보를 제안하거나 현혹시키고 있어 선거판이 혼탁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일부 선거 기획사는 신뢰성이 담보되지 않은 엉터리 여론조사 등을 자체적으로 실시해 배포하거나 후보자들에게 접근하는 등 도를 넘어선 선거 기획 활동으로 유권자들의 판단을 흐리는 부작용도 낳고 있다.
대전의 한 예비후보자는 “일부 선거 기획사들은 특정 지역을 골라 자신들에게 홍보물이나 걸개그림 등을 맡기는 후보에게 유리한 쪽으로 여론 조사를 하고 있다”며 “교묘하게 조작된 여론조사가 암암리에 배포돼 난감하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최근 한 후보가 ‘모 단체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자료를 지역 유권자들에게 배포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일부 선거 기획사들은 여론조사를 빙자해 예비후보를 대신해 후보자 홍보에 나서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여론조사를 한다면서 특정 후보의 이름이나 당을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대전 유성에 사는 이모(41) 씨는 “최근 여론조사 기관이라는 전화를 받아 조사에 참여했더니 특정 후보의 이름만 계속 되풀이해 나오더라”며 “여론조사가 아닌 후보 홍보라는 생각이 들어 황당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선거철에 속속 등장하는 중개인이나 이익 극대화가 목적인 여론 조사 기관 때문에 진실이 왜곡될까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 예비후보자들은 유권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여론 조사의 정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선관위 관계자는 “여론조사는 특정 인물이나 정당 등을 지속적으로 거론하거나 편향된 어휘나 문장을 사용하면 안 된다”며 “응답자에게 답을 강요하거나 조사자의 의도에 따라 응답을 유도하는 방법도 단속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