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전에서 운행 중이던 시내버스에서 화재가 발생한 후 시민들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천연가스(CNG) 버스 폭발 등 매년 시내버스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지만, 명확한 원인규명과 함께 예방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행정당국이 오히려 뒷짐을 지고 있어 이 같은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9일 대전시와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6일 오전 동구 성남동 대전복합터미널 인근에서 달리던 시내버스가 폭발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화재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폭발한 시내버스가 이용연한이 3개월 남짓한 노후 차량이라는 점에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지역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965대 중 올해 안에 차령이 만료되는 차량이 전체의 21%인 204대로, 노후 차량에 대한 총체적인 재점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수의 노후 차량에 대한 관리 대책도 시급하지만, 정확한 사고 원인 파악 후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할 관련당국의 ‘떠넘기기 식’ 행정 역시 문제다.

현재까지 소방당국이 파악한 것은 ‘전기단락’에 의한 화재지만, 이 또한 개연성에 불과할 뿐 명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소방당국의 한 관계자는 “화재 당시 버스회사에서 차량을 견인했고, 1차적인 조사에서 ‘단락흔’이 발견돼 전기적인 요인이라는 점 외에 추가로 확인된 것은 없다”면서 “이런 사고의 경우 국과수의 정밀 감정이 필요하지만, 보통 회사 자체적으로 조사를 하기 때문에 과정에 참여하고 싶어도 거의 배제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버스회사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을 가진 대전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시는 시내버스 정비 상태 파악이나 사용연한 연장 등은 국토해양부 소관 업무이며, 교통안전공단에서 이를 담당하기 때문에 사실상 원인 파악에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교통안전공단 측은 “사고 후 대전시의 요청이 없었고, 독단적으로 점검에 나설 경우 업체들의 반발이 적지 않다”며 해당 지자체의 협조 없이는 원인 파악에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게다가 2010년 8월 서울 행당동 버스 폭발 사고 이후 지난해 지역 내 시내버스의 ‘CNG용기’ 전면 교체가 진행됐지만, 예산상의 문제로 2002년과 2003년산 노후 차량(200여 대)만 대상에 포함됐다.

때문에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시내버스에 대한 불안감 해소 차원에서 관련기관 간 협조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올해 5월부터 3년에 한번 씩 CNG 용기 등 시내버스 재점검 제도가 의무화되면서 시내버스 안전사고 방지에 어느 정도 효과가 기대되지만, 준공영제 시행에 따라 노후 차량이나 시설 교체시 지원 예산의 폭도 다소 늘어날 것”이라며 “시민 불안감 해소 차원에서 사고 원인 파악 등을 위해 관련 기관 간 협조도 고려하겠다”고 설명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